한국YWCA연합회(YWCA·회장 차경애)는 3일 서울 중구 본부 강당에서 ‘일본 탈핵활동가 아오키 가즈마사, 기노 류이치 초청간담회’를 개최했다. ‘일본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일본과 한국의 국민들은 안전한가?’란 주제로 열린 간담회는 2011년 대지진과 쓰나미 여파로 방사능이 누출된 후쿠시마 참사 이후 일본사회의 변화와 방사능 오염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마련됐다.
15개 일본 시민단체와 연합해 방사능 감시 활동을 펼친 아오키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이사와 도쿄전력의 사고수습 과정 등을 취재한 저널리스트 기노씨는 후쿠시마 참사 이후 일본의 방사능 오염 실태와 정부 대응에 대해 강연했다.
아오키 이사는 일본 정부가 피폭의 위험성을 의도적으로 축소·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정부는 후쿠시마시민 대상 세미나에서 ‘피폭 영향보다 피난에 따른 리스크가 더 크다’고 말한다”며 “이러한 정부 선전으로 국민과 매스컴 모두 피폭에 대한 경각심이 현저히 줄었다”고 우려했다.
기노씨도 ‘도쿄전력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수습 작업의 기만과 과제’란 제목의 발표에서 일본정부의 사고수습 태도를 질타했다. 기노씨는 “일본정부와 도쿄전력은 2020년 노심 용융된 핵연료 파편을 꺼낸다는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했으나 2020년 도쿄올림픽이 결정된 이후 이를 2022년으로 미룬다고 발표했다”며 “하지만 이마저도 방사성 폐기물 발생량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실행이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태에서 세운 폐로 계획과 중장기 로드맵은 실현 불가능한, 국민을 기만하는 로드맵에 지나지 않는다”고 혹평했다.
이들은 정부가 방사능 위험성을 은폐·축소하는 움직임을 보일 경우 각국 시민들이 나서서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오키 이사는 “방사능 오염수와 대기 중 방사능 오염 문제는 국경이 없다”며 “주변 국가 탈핵 단체들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민경 기자 grieg@kmib.co.kr
“日 정부, 방사능 피폭 위험성 축소 은폐”
입력 2014-12-05 0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