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경정 외 경찰 3명도 문건 유출 과정에 개입”… 檢, 사무실·자택 등 6곳 압수수색

입력 2014-12-04 04:18 수정 2014-12-04 09:25
검찰 수사관들이 3일 중구 예장동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을 압수수색한 뒤 상자 가득 압수품을 담아 나오고 있다. 검찰은 '정윤회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 경정의 근무지 등 6곳을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했다. 곽경근 선임기자

검찰이 정윤회(59)씨 ‘국정개입 의혹’ 문건 유출 의심자로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48) 경정 외에 서울지방경찰청 정보담당 경찰관 3명을 특정했다. 검찰은 이들의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박 경정은 4일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는 3일 박 경정의 근무지인 서울 도봉경찰서 및 서울지방경찰청 정보1분실, 박 경정의 자택·차량 등 6곳을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했다. 정보1분실 소속 경찰관 3명의 집 등도 압수수색 대상에 들어갔다.

검찰이 제시한 압수수색영장에는 박 경정 등 4명이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 피의자로 적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정보1분실 경찰관 3명 중 2명을 현장에서 임의동행 형식으로 연행해 밤늦게까지 조사했다. 이들은 범죄정보 업무 담당자들이다.

검찰은 4일 박 경정을 불러 문건 작성 경위와 유출 의혹 등을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박 경정 측 정윤기 변호사는 “박 경정이 4일 오전 9시30분 출두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문건이 정보1분실 경찰관들을 거쳐 외부로 새나갔다는 의혹에 관한 증거를 찾는 데 주력했다. 박 경정은 지난 2월 청와대 파견근무에서 해제되기 직전 6일가량 정보1분실에 자신의 짐을 보관했다.

검찰은 이와 함께 ‘국정개입 의혹’ 문건 보도 과정에 관련된 이들의 전화통화 내역 분석에 착수했다. 검찰은 조만간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과 홍경식 전 민정수석 등 박 경정의 청와대 근무 당시 지휘라인을 차례로 소환할 계획이다. 청와대는 이번 주 중에 민정수석실이 문건 유출 과정을 자체 조사한 결과 등을 검찰에 제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측도 박 경정을 최초 유출자로 지목하고 있다.

한편 청와대에 이어 정윤회씨도 문건 내용을 보도한 세계일보 기자 3명을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정씨는 변호인을 통해 “검찰이 신속하고 엄정하게 수사해 각종 의혹과 낭설이 소멸되기를 고대한다”며 “검찰이 소환하면 언제든 응하겠다”고 말했다.

이경원 강창욱 기자 neosarim@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