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정윤회 문건’ 파문] 정보1분실의 의혹… ‘문건’ 외부 유출 단서 집중 수색

입력 2014-12-04 03:27 수정 2014-12-04 09:35
검찰 수사관들이 3일 중구 예장동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을 압수수색한 뒤 상자 가득 압수품을 담아 나오고 있다. 검찰은 '정윤회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 경정의 근무지 등 6곳을 동시다발적으로 압수수색했다. 곽경근 선임기자

검찰이 3일 이른바 ‘정윤회 문건’ 작성자인 박관천(48) 경정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며 본격적인 문건 유출 경로 추적에 들어갔다. 검찰은 박 경정이 직접 청와대에서 내부 문건을 반출했으며, 서울지방경찰청 정보 담당 경찰관 3명이 이후 문건 유출에 개입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검찰은 이날 서울지방경찰청 정보1분실을 8시간 이상 압수수색했다.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근무했던 박 경정은 지난 2월 경찰 복귀를 앞두고 이곳에 쇼핑백과 상자 등을 6일간 가져다 놓았다. 자신이 정보1분실장으로 발령 날 줄 알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3월 도봉경찰서 정보과장으로 발령이 났고 현재 정보1분실에는 박 경정의 물품이 남아 있지 않다.

그럼에도 검찰이 정보1분실을 압수수색한 것은 이곳에서 문건이 다량 복사돼 외부로 나갔다는 의혹을 입증할 단서를 찾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문건 유출 연루 혐의가 있는 정보1분실 경찰관 3명의 보관 서류와 컴퓨터 등도 집중 수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2명은 바로 검찰청으로 연행됐다. 검찰은 박 경정이 이들에게 문건을 회람시켰거나 경찰관들이 박 경정 몰래 복사해 돌려봤을 가능성 모두 열어두고 있다. 개인적 차원이 아니라 정보1분실이 조직적으로 문건 유출에 관여했을 수 있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지난 2∼3월 정보1분실 직원이 가방에 청와대 문건을 넣고 다녔다는 증언도 있다.

검찰은 박 경정이 청와대 문건을 애초 외부로 반출시킨 당사자인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박 경정은 “나는 유출자가 아니다”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검찰은 박 경정이 수사가 진행되더라도 구체적인 유출 경로를 파악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추측한다. 검찰 관계자는 “경로 추적에 몇 가지 난관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 내부의 제3인물이 지난 1월 공직기강비서관실 내 박 경정의 책상 서랍에 있던 문건을 복사해 갔다는 주장도 나온다. 박 경정 역시 언론 인터뷰에서 “누군가 서랍을 열고 문건을 모두 복사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검찰은 청와대 보안시스템 등을 고려할 때 도난 의혹은 신빙성이 낮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다량의 문건이 종이서류 형태로 반출되긴 어려운 만큼 휴대전화 등 전자 저장장치에 사진파일 형태 등으로 담겨 나갔을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검찰은 4일 박 경정이 출석하면 실제 문건을 유출했는지, 어떤 의도였는지 등을 강도 높게 추궁할 계획이다. 명예훼손 사건과 관련해 문건 작성 경위 및 의도, 작성 근거가 된 정보의 출처 등도 함께 조사할 전망이다. 박 경정은 ‘정씨가 대통령 핵심 측근들과 외부에서 정기적으로 만나 국정 전반을 점검했다’는 문건 내용의 진위를 가리는 데도 핵심적인 인물이다. 청와대는 “증권가 정보지(찌라시)를 모은 수준”이라는 입장이지만, 박 경정의 직속상관이던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은 “문건 신빙성은 6할 이상”이라고 맞서고 있다.

검찰은 조 전 비서관을 출국금지했다. 이르면 다음 주에 조 전 비서관도 불러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