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2016년에 종료한다는 기존 원칙을 고수했다. 이로써 하루 1만t에 이르는 수도권 쓰레기 처리를 둘러싼 서울·경기·인천의 갈등이 격화될 전망이다. 벌써부터 수도권 쓰레기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3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수도권매립지의 2016년 매립종료 기한은 준수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힌다”며 “인천시민의 희생만 강요하는 현재 수도권매립지 정책은 근본적으로 재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한 선제 조치로 매립지 소유권과 면허권의 인천 이양, 매립지관리공사의 인천시 이관, 매립지 주변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정책 추진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 시장은 “환경부, 서울시, 경기도는 수도권매립지에 대한 모든 권한을 내려놓고 협의에 임해달라”며 인천시장, 서울시장, 경기도지사, 환경부 장관으로 구성된 4자 협의체를 제안했다. 서울·경기·인천 지역 쓰레기를 처리하는 수도권매립지는 사용기간을 둘러싸고 첨예한 갈등을 빚어왔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매립이 시작되지 않은 3·4매립장 등 수도권매립지의 수용 용량이 충분한 점을 고려해 2044년까지 사용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시는 매립지로 인한 시민의 환경피해가 크다며 조성 당시 계획대로 2016년 사용 종료 원칙을 고수해 왔다. 유 시장은 6·4 지방선거에서 수도권매립지의 2016년 사용 종료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인천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들도 “인천시민은 26년간 쓰레기매립지로 인해 악취·소음·비산먼지로 고통을 당해 왔다”며 2016년 매립지 사용 종료를 촉구해 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
인천시, 수도권매립지 사용 2016년 종료 기존입장 고수… 쓰레기 대란 우려
입력 2014-12-04 0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