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개선위원장 ‘절대 평가’ 옹호… 자격고사화 논의될 듯

입력 2014-12-04 02:56
서울 풍문여고 학생들이 3일 수능 성적표를 받고 영역별 점수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이동희 기자
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고질병’을 해결할 카드로 내세운 ‘수능개선위원회’가 닻을 올렸다. 출제 오류와 난이도 조절 실패의 문제부터 손을 댈 계획이다. 수능을 자격고사로 만드는 방안 등 근본적인 개선책도 찾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교육 당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던 학회 출신이 대부분이라 ‘그 밥에 그 나물’이란 비판도 나오고 있다.

◇수능 체계 바뀌나=교육부는 위원장 포함 7명으로 개선위를 구성했다(표 참조). 교육평가 부문 2명, 대학 입학처장 출신 2명, 교육과정·영어교육·일선교사 각 1명이다. 위원회는 내년 3월까지 수능 출제 시스템을 진단·분석해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고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개선안은 내년도 수능 기본계획에 반영돼 6월 모의평가부터 적용된다. 위원회는 출제 여건 개선, 출제 위원의 인적 구성 다양화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 수능 전반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는 역할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원장을 맡은 김신영 한국외대 교수는 ‘절대평가’를 옹호하는 인물이다. 지난 10월 영어 절대평가 도입을 위한 공청회에서 “상대평가는 지나친 점수 경쟁을 야기한다. 절대평가는 경쟁을 완화해 사교육을 줄여준다”고 말하기도 했다. 절대평가를 통한 ‘자격고사화’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문제은행 도입 방안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익명을 요구한 한 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문제은행식으로 갈지, 현재대로 갈지도 쟁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EBS 연계도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교사 신분인 김종우(양재고 교사) 위원은 그동안 EBS 연계율 70%에 부정적 의견을 강하게 피력했다. 대학 입학처장 출신 위원 2명은 대학이 학생선발 자율권을 가져야 한다는 쪽으로 목소리를 낼 것으로 보인다.

◇“수능 오류 당사자로 꾸려진 위원회” 비판도=교육 당국과 밀접한 관계인 교육 관련 학회 출신이 위원회의 다수를 차지했다는 지적이 벌써 나온다.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올해 수능 정답을 확정 발표하는 자리에서 “외부인사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해 근본적으로 (수능을) 개편하겠다”고 밝힌 것과 배치된다는 주장이다.

김 위원장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책임연구원 출신이다. 김경성 위원은 지난해 세계지리 오류 파문 당시 수능 채점위원장이었다. 김대현 위원은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연구위원을 지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수능 오류의 당사자들로 꾸려진 위원회”라고 꼬집었다.

또 위원 7명 가운데 교사가 1명에 불과해 교수 편중이 여전하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교육부 관계자는 “효율적 개편을 위해 수능 체계를 잘 아는 인물로 구성했다”고 해명했다. 교육부는 법조계, 언론계, 학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별도의 자문위원회를 꾸려 ‘투트랙’ 체제로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