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초기에 건설된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은 연인원 138만 명 이상을 투입해서 쌓은 아파트 5층 높이 거대 성벽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한국 고대사 연구의 주요 쟁점 중 하나인 풍납토성의 축조 연대와 건설 공법, 규모 등을 확인하기 위해 2011년 발굴된 동쪽 성벽을 대상으로 고고학, 영상공학, 지구물리학, 지리학, 측량학, 토목공학, 토양학, 핵물리학 등 여러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융합연구를 수행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3일 밝혔다.
연구소에 따르면 동쪽 성벽은 3세기 중·후반에 착공해 4세기 중반 이전에 처음 완공됐고 이후 4세기 말과 5세기 중반 두 차례에 걸쳐 증축되면서 규모가 확대됐다.
현재 정비된 성벽은 높이 약 5m 안팎이고 땅속에 3m가량 묻힌 점을 고려하면 남은 성벽 높이가 대략 8m 정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가 성벽을 컴퓨터 모형화한 결과 처음 성벽이 건설되었을 때 높이는 10.8m였고 두 차례 증축을 거치면서 최대 13.3m까지 확대되었음이 밝혀졌다. 이는 한강변에 아파트 5층 높이까지 흙을 쌓아 총 3.5㎞ 둘레의 거대한 성벽을 완성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소는 덧붙였다.
복원한 풍납토성 성벽 규모를 중국 당나라 때 백과사전인 통전(通典)에 기록된 인부 1인당 하루 작업량과 비교할 때 풍납토성 건설에 연인원 138만 명 넘게 투입되었다는 게 연구소 측 추산이다.
연구소는 “풍납토성은 초대형 국가 프로젝트로 백제 초기의 국가적 역량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라며 “당시 지반의 특성과 구조물의 하중 등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선진 토목기술이 존재했음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풍납토성은 아파트 5층 높이 거대 성벽이었다
입력 2014-12-04 0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