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정윤회씨 ‘국정개입 의혹’과 사자방(4대강사업·자원외교·방위산업) 국정조사를 쌍끌이로 내세우며 연말 국회를 공세적으로 돌파하고 있다.
지도부는 3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 회의에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등 ‘문고리 권력 3인방’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미 당 차원에서 이 사건을 ‘십상시(十常侍) 게이트’로 규정한 상태다.
박지원 비대위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비서실장과 비서실에 굉장한 신뢰를 표시했는데 어떻게 검찰이 권력 최고 핵심인 비서실장과 문고리 권력을 수사할 수 있겠느냐”며 “이분들이 책임지고 물러나야 검찰이 제대로 수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은 YTN라디오 인터뷰에서는 “가장 빨리 레임덕이 오고 있다”고도 했다.
문재인 비대위원 역시 “청와대 비서실의 기능부터 정상화하는 쇄신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박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마땅한 일”이라고 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문건의 진위 자체보다는 유출 경위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위원장은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유출을 국민의 알권리라 하지 않았느냐”며 “언론이 국민의 알권리보다 징역을 갈 걱정을 해야 하니 적폐가 이게 아니고 무엇이냐”고 비판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소속인 안민석 의원은 비대위 회의에 참석해 김진선 전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7월 전격 사퇴한 배경에 김기춘 실장과 정윤회씨 간 권력암투가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새정치연합은 또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한 ‘2+2 회동’ 채널을 조만간 가동해 사자방 국조를 연내에 반드시 관철한다는 각오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회의에서 “사자방 국조에 대한 결론 없이 연말을 보낼 수 없다”며 즉각적인 국조 수용을 촉구했다. 하지만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이 블랙홀처럼 정국을 집어삼키면서 사자방 국조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고 있어 속도조절론 혹은 ‘투 트랙’ 접근론이 제기된다.엄기영 기자 eom@kmib.co.kr
▶ 관련기사 보기◀
[‘靑 정윤회 문건’ 파문] 새정치연합 “비서실장·3인방 사퇴해야” 사자방 국조와 투트랙 압박
입력 2014-12-04 02:28 수정 2014-12-04 0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