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이 9개월 만에 최저치인 1.0%까지 떨어졌다. ‘D(디플레이션) 공포’가 눈앞으로 다가온 것이다. 정부는 담뱃값 인상으로 내년 물가상승률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지만 이마저도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올랐다. 상승률이 0.1% 포인트만 더 낮아져도 물가상승률 0%대에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1.7%를 기록한 뒤로 계속 떨어져 왔다. 23개월째 상승률은 1%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인 2.5∼3.5%에 턱없이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근원물가 상승률도 연이은 하락세다. 지난달 근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6%로 조사됐다. 지난 8월 2.4%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하락 중이다. 근원물가는 소비자물가에서 가격 변동폭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9월 “(근원물가는) 수요 측면에서 기조적인 물가 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통화정책 측면에서 근원물가 동향을 주의 깊게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한 바 있다.
물가상승률 0%대가 눈앞에 다가오면서 디플레이션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이재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지난달 25일 “소비자물가지수로 측정한 상승률은 어느 정도 상향 오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1% 미만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실제 디플레이션 상황을 의미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는 내년부터 담뱃값이 인상되면 1%대 저물가를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담뱃값이 2000원 인상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62% 포인트 올라갈 것으로 추산해서다.
그러나 이는 숫자상 효과 이상의 의미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 지적이다. 조동철 KDI 거시경제연구부장은 “정부의 셈법이 너무 단순하다”며 “설령 정부의 주장대로 물가가 상승해서 2%대가 된다고 해도 저물가의 근본 원인인 ‘수요 부진’ 해소와는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커가는 ‘D의 공포’… 11월 물가 9개월만에 최저
입력 2014-12-03 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