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태 분석-‘靑 정윤회 문건’ 파문] 문고리 권력 실태는…

입력 2014-12-02 02:58 수정 2014-12-02 15:31

정윤회씨 ‘국정개입 의혹’ 문건이 갈수록 파장을 일으키면서 등장인물에 대한 세인의 관심이 갈수록 커지는 양상이다. 사실 여부를 떠나 특히 시선이 집중되는 사람들은 ‘십상시(十常侍)’ 멤버로 알려진 안봉근 청와대 제2부속비서관과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등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정치에 입문한 이후 20여년을 줄곧 보좌해온 이들이 2012년 대선 이후 ‘문고리 권력’이란 비판을 들었기 때문이다.

올해 초 박 대통령이 스위스를 국빈방문했을 당시 수행단에서는 한·스위스 확대정상회담 형식을 둘러싼 잡음이 나왔다. 정치·외교·경제·사회 현안을 놓고 양국 정상과 각료들이 논의하는 회담에 청와대 부속비서관 두 명이 회담석상에 자리를 잡았다는 말이 돌았다. 카운터파트(Couterpart·상대국의 동격 당사자를 지칭하는 외교용어)만 함께하는 자리에 청와대 비서관이 배석하는 게 맞느냐는 것이었다.

당시에 만난 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의 개인비서 격인 청와대 부속비서관이 정상 대 정상, 각료 대 각료로 상대국과 마주하는 정상회담에 참석한 경우는 역대 정권에서 단 한 번도 없었다”고 전했다. 다른 인사도 “상대국 카운터파트가 없는데 회담장에 배석하는 게 외교적 결례였지만 아무도 문제 삼지 못했다”고 했다. 두 사람은 최근에는 확대정상회담에 배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도 정부 주변에선 이들을 둘러싼 설왕설래가 많았다. 대통령 일정과 메시지 기안을 담당하는 정 비서관이 밤새도록 각 부처에서 청와대에 보낸 보고서를 모아 검토한 다음 필요한 것들만 골라 박 대통령에게 올린다거나 안 비서관이 장관과 청와대 수석들의 전화를 먼저 받은 다음에야 박 대통령과 연결시켜 준다는 말도 나왔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조차 눈치를 본다더라”는 이도 있었고, “수시로 장관·수석들이 부속비서관에게 전화를 걸어 ‘지금 바쁘시냐’ ‘심기는 어떠시냐’ ‘지금 보고하면 적절하냐’고 조언을 구한다”는 이도 있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