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나진-하산 프로젝트’ 시범 사업인 시베리아 석탄 수입의 본계약 체결이 내년쯤 성사될 것으로 예상했다.
프로젝트는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발생하는 물류 운송 일부를 북한 나진항을 거치게끔 하는 방식이다.
남·북·러 3자 각각에 이익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석탄 운반 외의 사업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1일 “본계약을 금년 안에 체결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내년쯤 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필요하면 시범 운송을 한 차례 더 실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러시아산 석탄의 운송을 위해 철도, 항구 등을 내어주고 얻는 수익이 적지 않기 때문에 사업에 적극 임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총 400만 달러 규모의 사업 가운데 항만 비용 등으로 북한에 지불된 금액에 대해 “아직 사업이 본격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많이 들어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 안팎에선 “무시할 수 없는 금액”이란 말이 흘러나온다.
때문에 북한은 에볼라 방역에서 면제하는 등 우리 방북단을 각별히 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당국은 지난 10월 이후 입국하는 외국인에게 3주간 의무 격리를 시행하고 있다.
남한 기업도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 러시아산 석탄의 기존 수입 경로인 ‘보스토치니-포항’ 항로에 비해 ‘나진-포항’ 항로를 이용하면 10∼15%의 운송비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러시아 항구들이 겨울철 동결되는 데 비해 나진항이 부동항(不凍港)인 점도 장점이다. 러시아, 중국은 동해를 통해 남한으로 향하는 항로의 거점으로 나진항을 선호한다.
포스코, 코레일, 현대상선 등 민간 3사는 러시아와 북한이 7대 3의 비율로 출자한 합작 회사의 러시아 측 지분 절반 정도를 인수할 계획이다.
정부는 3사와 러시아의 협상 쟁점에 대해 ‘항만 비용’ ‘지분 인수 금액’ 등을 거론했다.
남북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정치적 효과도 주목된다. 정부 관계자는 “사업 금액이 어떤 목적과 경로에 따라 북한에 들어가는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진-하산 프로젝트가 대북 송금을 규제하는 ‘5·24조치’의 예외인 점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나진-하산 프로젝트 2015년 본계약 체결 예상
입력 2014-12-02 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