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에이즈 환자 급증세… 관련 예산은 오히려 줄어

입력 2014-12-01 02:01

정부가 오는 7일까지 ‘에이즈 예방주간’을 선포하고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섰지만 정작 에이즈 관련 예산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에이즈 환자는 지난해 신규 감염자가 1000명을 넘어서는 등 가파르게 늘고 있다. 1일은 유엔에이즈계획(UNAIDS)이 정한 제27회 ‘세계 에이즈의 날’이다.

30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06년 796명이었던 에이즈 감염자는 지난해 1114명으로 39.9%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20대(320명)가 가장 많았고 30대 268명, 40대 241명 등이었다. 20∼40대가 전체 감염자의 75%에 달했다.

감염 경로로 성관계가 86.9%로 가장 많았다. 수혈 또는 혈액 접촉이 2.3%, 정맥주사는 0.4% 등이었다. 감염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10.4%(114명)나 됐다.

성별로는 남성 감염자가 대부분이다. 현재까지 누적 감염인 8662명 중 남성은 7978명에 이른다. 서울성모병원 감염내과 연구팀이 지난해까지 8년 동안 에이즈 환자 1096명을 대상으로 역학조사한 결과 남성 비율은 92.7%로 압도적이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남성 동성애자의 경우 일반적 남녀 성관계에 비해 에이즈에 걸릴 확률이 훨씬 높다”고 설명했다.

에이즈 환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부 예산은 올해 100억원에서 내년 97억원으로 3억원가량 줄었다. 전국에 한 곳뿐이던 에이즈 전문요양병원도 지난해 12월 인권침해 등의 문제로 전문병원 지정이 취소됐다. 권미란 ‘HIV·에이즈인권연대 나누리플러스’ 소속 활동가는 “일반 요양병원은 대개 에이즈 환자의 입원을 꺼린다. 국가 차원에서 직영 요양병원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정책 부실과 함께 막연한 공포도 ‘오해’를 키우고 있다.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됐다고 해서 에이즈 환자는 아니다. 관리 없이 질병이 진행돼 면역체계가 손상되면 에이즈 환자가 된다. HIV 감염인과 손을 잡거나 같이 운동하는 등 일상적 활동으로는 전염되지 않는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올바른 치료와 함께 질병 진행을 지연시키는 약 복용으로 건강관리를 한다면 30년 이상 살 수 있다”며 “막연한 공포를 버리고 주기적인 검사를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