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학교에서 이른바 ‘민주시민교육’이 크게 강화된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생인권·학생자치·세계시민교육 등을 다룰 민주시민교육과를 신설하는 내용의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고 30일 밝혔다.
민주시민교육과는 학생인권을 보호하고 학생자치를 도우며 다문화 사회에서 바람직한 태도를 길러주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동아시아 역사 문제, 탈북자 문제 등 사회 문제에 대한 교육과정을 짜는 일도 맡게 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관련 교재를 개발해 해당 교과목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시민교육을 하는 별도의 수업 시간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민주시민교육은 진보 교육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사안이다.
하지만 개념이 추상적이고 교육 방식도 명확치 않아 시교육청 내부에서조차 “낯설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시교육청은 서울 교육의 비전을 제시할 ‘교육혁신과’도 신설하기로 했다. 그동안 각 학교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교육과정정책과와 교원정책과는 사라진다. 산하 교육지원청은 각 초등·중학교를 자체 감사하는 등 기능이 강화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조직이 전체 94팀에서 83팀으로 감축된다”면서 “줄어든 인력 94명은 교육지원청 및 학교에 재배치해 현장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직개편안은 교육부 승인과 규칙 개정 절차를 거쳐 내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한편 시교육청은 2015학년도 서울형 혁신학교를 공모해 초등학교 26곳, 중학교 13곳, 고교 5곳 등 모두 44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혁신학교를 포함해 내년 3월 1일 기준으로 89개교를 혁신학교로 운영할 계획이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서울 학교 민주시민교육 강화된다
입력 2014-12-01 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