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거슨’ 사건 배경은 진보 거부 백인 분노 탓?

입력 2014-11-28 04:46
‘퍼거슨 사건’의 배경에는 역사적 진보를 거부하려는 백인들의 저항과 분노가 깔려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흑인의 영향력 확대와 인구 증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등장 등이 백인들의 유서 깊은 ‘평등 거부감’을 자극해 경찰 사법 행정 등에서 광범위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 인터넷판의 ‘많이 읽은 기사’란에는 ‘퍼거슨 사태는 흑인이 아닌 백인의 분노’라는 지난 8월 29일자 칼럼이 26일(현지시간) 현재까지 자리하고 있다. 역사학자인 캐럴 앤더슨은 이 기명 칼럼에서 흑인 인권의 진보에 대한 백인들의 뿌리 깊은 분노가 사회적 권위라는 방식으로 포장돼 비열하게 적용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흑인인 앤더슨은 “시위와 약탈은 시선을 사로잡지만 진짜 분노는 사태를 촉발시킨 백인들의 역사적 반동에 있다”고 지적한다. 선거구를 변경하고 흑인 고용의 원천이던 공무원을 감원하는 등 ‘은밀한’ 방식을 통해 희석돼 왔을 뿐 시위보다 더한 폭력으로 흑인들을 몰아붙이고 있다는 것이다. 남북전쟁과 브라운 대 토피카 교육위원회 판례(인종 구분 없이 함께 교육받게 한 1954년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례) 등 모든 흑인 인권 신장에는 그에 반발하는 역풍이 있었다고 말한다.

특히 이번 퍼거슨 시위를 미국 역사에서 계속 환기되고 있는 ‘흑인=범죄자’라는 삐뚤어진 시각과 이로 인한 경찰권 확대의 부작용으로 바라본다. 앤더슨이 인용한 스탠퍼드대 심리학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백인들은 ‘흑인 인구비율이 백인을 넘어서고 있다’고 인식하며 흑인 범죄에 대한 두려움으로 ‘삼진아웃제(three-strikes law)’나 ‘(경찰의) 신체 수색권’ 등 각종 징벌적 정책을 지지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런 공포심이 인종 차별의 악화를 초래해 유사한 사태를 반복적으로 야기한다는 것이다.

뉴욕타임스(NYT) 역시 사설에서 흑인 청년 브라운의 죽음은 흑인 사회에 대한 ‘인내심의 실험대’였다며 경찰이 불심검문을 가난한 소수자 시민에게 강화하면서 흑인사회 전체를 범죄자 집단으로 취급한 결과를 낳았다고 비판했다. 또 ‘경찰 총격으로 젊은 흑인 남성이 사망할 가능성은 젊은 백인 남성보다 21배 높다’는 최근 통계 결과를 인용해 경찰이 흑인을 ‘희생시켜도 상관없는’ 존재로 여기고 있다고 꼬집었다. 정건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