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외수정한 수정란을 검사해 이상이 없는 것만 자궁에 착상시키는 이른바 ‘착상 전(前) 검사’를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이 일본에서 추진 중이다. 사실상 우량한 수정란만 골라 착상시킨다는 것이어서 윤리적 논란이 예상된다.
일본 산부인과학회 윤리위원회는 25일 착상 전 검사의 임상 연구를 실시하는 방안을 승인했다고 일본 언론이 26일 보도했다. 임상 연구는 산부인과학회 이사회의 검토와 승인을 거쳐 이르면 내년 1월부터 실시될 전망이다. 착상 전 검사를 통해 이식된 수정란의 경우 출산율이 더 높아지는지를 조사하는 연구다. 연구 대상은 3회 이상 체외수정에 실패한 여성, 2차례 이상 유산을 겪은 여성 등으로 제한된다.
위원회가 임상 연구를 승인한 검사 방식은 ‘배열 비교유전체보합법(a-CGH)’이다. 체외수정한 수정란이 배반포(胚盤胞)로 성장했을 때 세포 일부를 꺼내 염색체 이상을 판별하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염색체 일부만 조사할 수 있었지만 최신 기술인 a-CGH로는 거의 확실하게 이상 염색체를 발견할 수 있다.
위원회는 이번 연구가 출산율과 관련된 것이라고 했지만, 검사 과정에서 성별은 물론이고 ‘다운증후군’ 같은 염색체 질환도 확인 가능해 ‘선별 출산’ 논란이 빚어질 수 있다. 일본 산부인과학회는 지금까지 중증 유전병을 갖고 있거나 염색체 이상으로 유산을 반복하는 경우에만 이 검사를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지침을 유지해 왔다.
이라하라 미노루 일본 산부인과학회 윤리위원장은 “출산을 원하는 임신부에게 효과가 있을지 검증할 것”이라며 “효과가 있으면 윤리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논의해 도입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월드 화제] 日, 선별 출산 가능성… 생명윤리 논란일 듯
입력 2014-11-27 0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