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를 쓰지 않으면서 냉난방과 조명 등을 할 수 있는 국내 첫 ‘제로에너지주택 실증단지’가 착공됐다.(조감도)
국토교통부는 25일 서울 하계동에서 서울시, 노원구와 함께 제로에너지주택 실증단지 착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제로에너지주택은 화석연료를 쓰지 않고도 냉난방, 온수, 조명, 환기 등 필수적인 기능을 할 수 있는 주택을 가리킨다. 이를 위해 고성능의 단열과 기밀, 고성능 창호 등의 자재가 쓰이고 태양광 전지판, 지열 히트펌프 등 신재생 에너지가 사용된다. 다만 냉난방, 조명 등의 필수기능을 제외하고 취사나 가전제품을 위한 전기에너지와 단지 내 주차장·엘리베이터 등 공용전기의 비용은 입주자가 부담해야 한다.
실증단지 입주자가 부담할 에너지 비용은 일반적인 국민임대주택(59㎡ 기준)보다 70% 이상 절감된다. 다만 특수 설계·시공방법과 고성능 자재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사비는 일반 보금자리주택보다 24.5% 더 든다. 완공 뒤 24년이면 에너지 비용 절감으로 추가 공사비를 회수할 수 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번 실증단지는 국민임대주택 단지로 정부 출연금 180억원을 포함해 총 442억원이 투입돼 2016년 하반기까지 7층 아파트 3개 동과 단독주택 등 총 121가구(연면적 1만7728㎡) 규모로 건설된다. 착공식에 맞춰 완공된 85.17㎡ 규모의 실험용 주택은 제로에너지주택 홍보관으로 이용되고 실증단지 완공 뒤에는 에너지자립 체험전시관으로 활용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2025년 제로에너지주택을 공급한다는 목표가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검증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기자
국내 첫 ‘제로에너지주택 단지’ 착공
입력 2014-11-26 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