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복수정답’ 인정] 수능 출제 시스템 등 개선위서 ‘대수술’ 한다

입력 2014-11-25 02:13
수능 2개 영역에서 복수정답이 인정되는 사태가 발생해 출제 시스템 변화가 불가피해졌다. 교육부는 외부 전문가를 주축으로 수능 출제 및 운영체제 개선위원회(수능출제개선위)를 구성하기로 했다.

수능출제개선위가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은 출제·검토위원의 인적 구성, 교수·교사 비율 및 역할, 문항 출제·검토 절차 등이다. 대학교수가 출제하고 고교 교사가 검토하는 방식이 적절한지, 과거 출제 경험자 위주로 출제위원을 선정하는 게 합리적인지, 특정 대학 출신이 출제위원에 일정 비율 이상 포함됐는지 등을 면밀히 살필 예정이다. 수능 이후 교육계와 언론 등에서 지적한 구조적 문제를 들여다보고 대책을 내놓겠다는 것이다.

‘EBS 교재 연계’도 재검토 대상이다. EBS 교재와 무리하게 연계시키려다보니 출제 범위에 제한이 생겨 오류가 일어나기 쉽다는 분석이 잇따랐다. 다만 EBS가 그동안 사교육을 진정시킨 효과가 있어 전면 재검토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능출제개선위는 다음 달 법조인 등 외부 전문가 10∼15명으로 구성된다. 최종 개선안은 내년 3월에 나오고, 2016학년도 수능 기본계획에 반영된다. 내년 6월 모의평가부터 개선안에 따라 출제가 이뤄질 예정이다.

그러나 이런 식의 개선안 마련이 실효성을 가질지는 의문이다. 교육 당국은 언어영역 복수정답 사태를 빚은 2004학년도 수능 직후에도 ‘수능시험 출제·관리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2005년에는 수능 출제 매뉴얼까지 만들었지만 출제 오류는 반복됐다.

이 때문에 수능이라는 제도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24일 “수능을 문제은행식 국가 기초학력 평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예측 불가능성과 오답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문제은행식 출제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수능을 합격·불합격 여부만 가릴 수 있도록 자격고사화하고, 입시 자체를 수능과 학생부 위주로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