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이희호 對北 특사론’… 정부 딜레마

입력 2014-11-25 04:29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국회 당대표실에서 열린 비대위회의에서 안건을 검토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재인 정세균 비대위원, 문 위원장, 우윤근 원내대표, 박지원 비대위원. 김태형 선임기자

새정치민주연합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인 이희호 여사를 ‘대북특사’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인도적 차원’이 목적인 이 여사의 방북을 남북관계를 진전시키는 ‘정치적 계기’로 만들자는 논리다. 박근혜정부의 투명하고 당당한 대북정책에도 맞아떨어진다는 것이다.

문재인 비상대책위원은 24일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북한 측과 방북 일정을 조율 중인 이 여사에게 대북특사 자격을 부여하자고 정부에 제안했다. 문 비대위원은 “평화와 안보가 공존하는 대북정책이야말로 연평도 포격 사건 4주기를 맞아 우리가 되새겨야 할 교훈”이라며 “그런 의미에서 이 여사를 대북특사로 활용해 남북대화 복원의 계기로 삼기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에 그럴 뜻이 있다면 이 여사도 기꺼이 협조할 것”이라며 “그러면 방북 시기도 그 역할에 맞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문 의원은 또 “남북관계가 어려울수록 과거 남북관계에서 성과를 거둔 우리 당의 경험을 폭넓게 활용해 달라”며 “정부가 그런 자세를 가지면 우리 당은 박근혜정부 대북정책의 성공을 돕는데 협조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도 이 여사의 방북 협의와 관련, “정부는 이 기회를 살려야 한다. 남북관계의 획기적 개선 방안을 내놔야 할 시점”이라고 했다. 그는 “연평도 도발 4주기를 맞아 북의 도발에 대해서는 더욱 단호하게 대응하되 남북관계 개선에 대해서는 보다 전향적인 자세를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특사론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전향적 자세 속엔 이 여사 대북특사 카드를 활용해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게 주변의 설명이다.

박지원 비대위원 역시 MBC라디오에 출연해 “특사론에 대해선 (박근혜) 대통령께서 하실 말씀이지 저희가 요구하는 것은 순서가 아니라 생각한다”면서도 “이 여사가 방북해 우리 입장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면 (남북관계가) 더 좋은 방향으로 승화될 수 있다”고 했다.

정부도 이 여사의 방북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통일부는 정례 브리핑에서 “앞으로 이 여사의 방북이 남북관계 개선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잘 추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임병철 대변인은 “단체(김대중평화센터) 측이 북측과 최종 협의를 거쳐 신청해오면 방북 승인 여부를 검토해나가겠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앞서 지난 21일 김대중아카데미 원장인 김성재 전 문화부 장관 등 이 여사 측 인사들은 개성공단에서 원동연 부위원장 등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관계자들을 만나 이 여사의 육로 방북에 합의했다. 양측은 숙소, 방문 장소 등 구체적인 사안에도 합의했지만 방북 시기는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았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