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지체하면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울진군의 대승적 양보로 이어졌습니다.”
임광원(64) 울진군수는 23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난 21일 울진군과 정부 간 신한울원전 건설 협상이 15년 만에 타결될 수 있었던 이유는 ‘양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울진군이 양보했던 이유는.
“신한울원전 건설 협상은 1999년부터 진행됐지만 지원금 규모를 놓고 접점을 찾지 못해 표류하다 최근 3년간 급물살을 타게 됐다. 15년간 끌어온 협상을 이번에 해결하지 못하면 울진 발전의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 같다.”
-협상의 최대 걸림돌은 무엇이었나.
“최대 난제는 의료·교육 분야 사업이었다. 의료·교육을 제외한 6개 대안사업은 이미 2013년 12월까지 정부가 1960여억원을 지원하는 것으로 합의됐지만 의료·교육 부문만은 지루한 공방이 계속됐다. 다른 사업과 달리 의료·교육은 주민 삶과 직결되기 때문에 분리해 별도 협의를 하자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었고, 정부와 한수원은 8개 사업의 일괄 타결을 원했다. 이 때문에 1년여 정도 시간이 허비됐다. 결국 구체적인 사업은 추후에 정하고 지원금만 먼저 840여억원으로 정하자는 정부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주민들의 양보 덕분에 극적인 협상 타결이 가능했다.”
-이번 협상에 군민들의 힘이 컸다고 하는데.
“협상 타결의 공은 주민들에게 있다. 2008년 울진군과 한수원 관계자, 민간단체 등으로 구성된 ‘8개 대안사업 추진협의회’를 만들어 수십 차례 협의를 했지만 의료·복지 분야에서 꽉 막혀 있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주민들 중심의 ‘울진군범국민대책위원회’가 적극 협력하면서 물꼬가 확 트였다. 특히 범대위 공동대표인 이세진 집행위원장이 협상 타결 전 10여일 동안 매일 한수원 관계자들을 만나 이번 타결을 이끌어내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협상 타결이 울진군에 주는 의미는.
“이번 협상은 울진군 발전을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주민들의 동의하에 원전 건설 협상을 벌였지만 15년 동안 지연되면서 울진군의 핵심 사업들이 줄줄이 차질을 빚어왔다. 협상을 타결하지 못했다면 지원금 규모만 늘어 정부가 더 부담을 느꼈을 것이고 이로 인해 협상은 더 어려워졌을 것이다. 적기에 협상이 타결돼 군민들이 바라던 숙원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울진군은 앞으로 의료시설 현대화 사업, 응급실 정상 운영, 의료진 인력 확보, 장학기금 마련, 학교 시설 현대화 등 의료·교육 분야 사업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서를 마련할 계획이다.”
울진=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양보가 해답이다-인터뷰] 울진 원전 대타협, 임광원 울진군수“주민이 중심돼 대승적 양보”
입력 2014-11-24 0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