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최고 권력기구인 국방위원회는 23일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통과를 맹비난하며 초강경 대응전에 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청와대를 겨냥한 핵전쟁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국방위는 성명에서 “대조선 인권결의를 두고 그 무슨 경사나 난 것처럼 까불며 입을 다물 줄 모르는 박근혜 패당에게 따져 묻는다”며 “이 땅에 핵전쟁이 터지는 경우 과연 청와대가 안전하리라고 생각하는가”라고 반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그러면서 “유엔은 20여년 전 우리 공화국이 나라의 최고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정의의 핵선언 뇌성을 울렸던 때를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며 1993년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거론해 앞으로 제4차 핵실험 등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앞서 지난 20일 대남 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북한인권결의안 처리를 공동 제안한 남한에 대해 “선전포고를 했다”고 규정했다.
국방위는 또 “우리의 참다운 인권에 대한 강도(强盜)적인 결의는 우리 국권을 해치려는 가장 노골적인 선전포고”라며 보복 대상으로 남한에 이어 미국 일본을 차례로 지목했다.
북한은 미국에 대해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저지른 범죄를 놓고 우리 앞에 무릎 꿇고 정식 사죄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오바마 친서를 들고 찾아온 미국 고위 관리를 아량 있게 대해 주었고, 미국 국적 범죄자에게 인도적 관용을 베풀어주었다”며 “그러나 미국은 인권 소동에 광분하는 것으로 응수했다”고 비난했다. 제임스 클래퍼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 방북을 통해 억류자를 석방하며 인권 압박에 대응했지만 물거품이 되자 ‘뒤끝’ 신경질을 냈다.
정부는 북한의 ‘초강경 대응전’ 위협을 규탄하며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경고했다.
정부는 외교부 대변인 명의 논평을 통해 “북한이 국제사회의 우려와 엄중한 권고를 받아들이지 않고, 유엔의 권위에 도전하면서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핵전쟁 위협 등 도발적 언동을 한 데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조치를 취할수록 스스로의 고립만 심화시킬 것”이라며 “도발을 감행할 경우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청와대는 안전하리라 생각하는가”
입력 2014-11-24 0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