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타결된 ‘신한울원전 건설 사업’은 한국수력원자력과 경북 울진군이 관련 협의를 시작한 이후 15년을 끌어온 이슈다. 지역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예민한 문제인 만큼 양측 모두 쉽게 결정을 내릴 수 없었다.
협상 결렬 위기까지 맞았지만 결국 타결에 성공한 것은 끝없는 대화와 양보로 입장차를 줄인 덕이라는 평가다.
애초부터 양측은 타결이 불가능할 듯 평행선을 달렸다. 울진군이 1999년 3월 원전 유치 의사를 표명한 뒤 정부와 울진군은 보상 문제를 논의했지만 10년을 질질 끌었다. 2010년 8월 한수원 울진본부는 8개 대안사업을 제시하며 일괄 타결 조건으로 600억원을 주겠다고 했지만 울진군은 5000억원을 요구했다. 금액 차이가 8배 이상이다. 울진본부가 800억원, 1000억원으로 지원액을 늘려 제시했지만 이미 양측 입장차는 너무 벌어져 있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 사고가 발생하면서 안 그래도 지지부진하던 협상에 불똥이 튀었다. 원전의 안전성에 대한 각종 괴담이 나돌면서 주민 불안은 최고조에 달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수원은 일본 원전 사고와 유사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 문제가 없도록 후속 대책을 세우고 주민설명회를 통해 괴담을 해명하는 등 원전의 안전성을 적극적으로 알렸지만 한번 돌아선 여론은 쉽게 되돌아오지 않았다.
울진범군민대책위원회는 정부와 한수원이 약속한 대안사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대정부 투쟁에 나서기도 했다.
오랜 기간 지지부진했던 협상은 지난해 울진본부가 1500억원과 460억원 규모의 사회간접자본(SOC) 지원안을 제시하면서 활로가 트였다. 결국 지난 2월 1960억원을 지원하고 교육·의료 분야 지원은 별도 합의키로 하면서 총 2800억원 규모의 지원 합의를 이끌어냈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지난 8월 직접 울진을 방문해 울진 각계 인사들을 만나 지역 여론을 청취하는 등 설득 작업에 나서기도 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양보가 해답이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폭발로 괴담 나돌며 여론 최악… 신한울원전 협상 막전막후
입력 2014-11-24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