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의 거듭된 협박은 국제사회 압박 수위만 높일 뿐

입력 2014-11-24 02:40
북한이 유엔총회 제3위원회의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에 반발하며 연일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최고 권력기구인 국방위원회는 23일 성명에서 “대조선 인권광란극을 짓뭉개버리기 위한 미증유의 초강경 대응전에 진입할 것”이라고 협박했다. 그러면서 인권결의안 채택 배후로 우리 정부와 미국, 일본을 지목했다. 국방위는 “초강경 대응전의 첫째가는 대상은 미국”이라며 “일본도 우리의 초강경 대응전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는 대상이고 박근혜 패당도 우리가 진입한 초강경 대응전의 기본 대상”이라고 위협했다.

북한의 국제사회 협박은 22일에도 있었다. 대남 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남측이 미국과 함께 ‘반공화국 인권결의 조작 놀음’을 벌였다고 비난하면서 이는 우리 제도, 우리 인민을 반대하는 전면적인 선전포고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특히 남측에서 진행 중인 북한인권법 처리, 북한인권사무소 설치 등의 논의를 ‘광란 소동’이라고 지칭하며 ‘남측을 국제적인 반공화국 인권 모략의 소굴’로 만들고 있다고 역설했다.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인권결의안 통과를 ‘북침전쟁의 서막’이라며 자위적 핵 억제력 강화로 대응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실제로 북한은 핵실험 위협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외무성이 20일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내비친데 이어 23일 국방위 성명에서는 “이 땅에 핵전쟁이 터지는 경우 과연 청와대가 안전하리라고 생각하는가”라며 4차 핵실험 가능성을 노골적으로 경고했다.

북한은 지금 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국제사회에 대한 상투적인 협박보다는 현재 북한이 해야 할 일은 불을 보듯 자명하다. 잔인무도한 강제수용소들을 폐쇄하고 주민들의 자유와 인권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유엔 북한인권조사관들을 아무런 조건 없이 북한으로 초청해 자유롭게 실태 조사를 하도록 허용해야 한다. 주민들의 인권 회복을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이 더욱 강력해질 것임을 북한은 명심해야 한다.

마침 23일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이 발생한 지 4주년 되는 날이다. 정전 이후 처음으로 북한군이 우리 영토에 무차별 포격을 가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앗아간 ‘잊혀져서는 안 될’ 만행이었다. 이번 인권 문제로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이 더욱 심화된 북한이 돌파구 타개책으로 자칫 대남 군사 도발을 자행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비해 북한이 우리 영토와 국민의 안전을 또다시 넘볼 수 없도록 우리 모두 완벽한 대비태세를 갖춰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