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경북 울진군 간 신한울원자력발전소 건설 협상이 15년 만에 극적으로 타결됐다. 원전 건설을 수용한 울진군에는 2800억원이 지원된다.
정부는 21일 울진군청에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울진군이 ‘신한울원전 건설 관련 8개 대안사업 합의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이번 협약에서 한수원은 울진군의 교육·의료 등 8개 부문에 280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다만 울진군은 현재 건설 중인 신한울원전 1, 2호기를 포함해 앞으로 건설될 3, 4호기에 대해서도 협조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이날 서명식 축사를 통해 “이번 합의는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과 지역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상생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면서 울진군민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어 “국가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원전 같은 시설을 유치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한울원전 협상은 1999년 울진군이 추가 원전건설 시 기존의 원전 부지를 활용할 것을 요구하는 등 보상 성격을 띤 14개 대안사업 시행을 요구하며 본격화됐다. 2009년 8개 대안사업을 전제조건으로 사업 시행에 합의했으나 대안사업 지원 규모에 대한 합의점은 찾지 못해 협상을 거듭하다 4년여 만에 극적 타결을 이뤄냈다.
정 총리는 신한울원전 건설 협약식을 마친 뒤 경북 영덕군을 찾았다. 정 총리는 영덕주민 간담회에서 “영덕군이 원전 유치를 계기로 확실한 지역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가능한 정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적극적 지원을 누차 약속했다.
영덕군은 2011년 주민 동의를 얻어 원전 4기 유치 지역으로 선정됐으나 주민들로부터 원전건설 반대 등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15년 만에… 신한울원전 협상 극적 타결
입력 2014-11-22 0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