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50대에 35% 집중

입력 2014-11-21 02:55

가계부채가 50대에 몰려 있어 이들이 은퇴 시점에 부채 상환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출 구조를 장기·분할 상환 방식으로 전환하는 등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지섭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0일 ‘가계부채의 연령별 구성변화’ 보고서에서 가구주 연령이 50대인 가구가 전체 가계부채의 35%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연령대 중 가장 많은 부채 보유량이다. 또 전체 가구 평균보다 50대 가구주 가구는 40%쯤 많은 채무 부담을 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연구위원은 50대 가구주가 10년쯤 뒤에 은퇴했을 때 수입이 갑자기 줄어드는 ‘소득 절벽’ 상태가 되면 부채 상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 고령층의 은퇴 뒤 소득은 미국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령층 부채 문제가 더욱 심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현재 50대가 은퇴 뒤 부채 상환에서 문제를 겪을 경우 한국 경제에 충격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김 연구위원은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해 한 연령대 가구의 부채 상환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연령대 가구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50대의 인구 비중이 높아 부채 절대 규모도 크기 때문에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92.9%다.

김 연구위원은 “단기·일시 상환 방식의 가계대출 구조를 장기·분할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국의 주택담보대출 중 상환 기간이 3년 이하인 비율은 18%이고, 만기 일시 상환 방식은 30%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상환 기간이 30년 이상 비율이 64%이고, 일시 상환 계약 방식은 0.08%에 불과하다. 또 “고령층의 소득이 급격히 감소하는 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면서 “임금피크제의 조속한 확산을 통해 근로자의 은퇴 연령을 높이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