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적반하장

입력 2014-11-21 02:39

아베 신조(安倍晋三·사진) 일본 총리가 총선을 앞두고 작심한 듯 극우 발언을 쏟아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의 명예 회복을 주장하는가 하면, 평화헌법 개정과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에서도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재집권에 성공할 경우 역사 인식 문제로 주변국과 또다시 갈등을 빚을 가능성이 농후해 보인다.

아베 총리는 20일 보도된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요시다 세이지(사망)씨의 증언이 해외에 널리 알려져 일본의 명예가 크게 상처를 입은 건 사실”이라며 “국제사회의 정당한 평가를 요구하고 요시다의 증언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요시다는 태평양전쟁 당시 자신이 제주도에서 여성을 강제로 데려갔다고 1982년 증언한 인물이다. 아사히신문은 이 증언을 토대로 기사를 작성했다가 ‘사실을 뒷받침할 수 없다’며 30여년 만에 기사 내용을 취소했다.

평화헌법 개정에도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아베 총리는 헌법 개정이 자민당 창당의 핵심 목표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현행 헌법이 패전 직후 연합군총사령부 치하에서 제정된 점을 의식한 듯 “자기 손으로 직접 헌법을 만들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관련해서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영령의 명복을 비는 건 국가 지도자로서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초 신사를 찾아 “먼 전쟁터에서 나라를 생각하며 세상을 떠난 영령들에 참배하며 영구 평화를 맹세했다. (참배가) 외교 문제가 돼서는 안 된다”면서도 “향후 참배 여부를 지금 밝힐 생각은 없다”고 물러섰다.

한·일 관계에 대해선 개선 의사를 밝혔다. 아베 총리는 “한국과 일본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기 때문에 양국 관계 발전은 일본의 국익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10일 중국 베이징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때 박근혜 대통령과 대화를 나눈 사실을 언급하며 “박 대통령과 우연히 동석해 솔직한 대화를 나눴다. 양국 정상이 아무런 전제조건 없이 흉금을 터놓고 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