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자-이성규] “농업은 미래산업”… 농식품부 말로만

입력 2014-11-20 02:30

‘농업은 미래성장산업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19일 경기도 안성 팜랜드에서 ‘농업 미래성장 대토론회’를 개최하면서 내걸은 구호다. 토론회에는 박근혜 대통령을 포함해 농·산·학계 인사 400여명이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인사말을 통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개방에 대한 방어적인 대책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우리 앞에 놓인 도전과 변화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창조적 해법’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는 현 정부 들어 대통령이 참석하는 첫 농업분야 토론회라는 자체로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포장은 훌륭했지만 속 내용은 알차지 못했다. 대통령이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강조한 창조적 해법은 보이지 않았고 ‘재탕 삼탕’ 정책이 주를 이뤘기 때문이다.

정부가 이날 밝힌 들녘 경영체 육성,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시설 현대화, 농식품의 6차 산업화는 현 정부 들어 여러 차례 각종 농업 대책에 포함됐던 내용들이다. 이날 새로운 것이라고는 CJ 등 대기업과 농업계 간 상생 협약을 체결한 내용 정도다. 이를 두고 대다수가 영세농인 우리 농업 현실에서 대기업과 손을 잡으면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한다는 발상이 안이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쌀 관세화, 한·중 FTA와 한·뉴질랜드 FTA 협상 타결 등으로 우리 농업은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앵무새’처럼 기존 대책을 되풀이하면서 ‘다 잘될 거야’라는 주문만을 외우고 있는 꼴이다. 농민 달래기용 대통령 참석 행사와 진부한 대책으로 우리 농업을 미래성장산업으로 키울 수는 없다. 정부가 농업시장 개방에 심혈을 기울인 만큼 우리 농업의 미래를 고민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세종=이성규 경제부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