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감원 수장 교체 계기로 시장의 신뢰 회복해야

입력 2014-11-20 02:27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사를 검사·감독하는 금융감독원의 수장이 바뀌었다.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금융위원회가 올린 임명제청안을 재가함에 따라 진웅섭 신임 금감원장이 19일 취임했다. 신임 금감원장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적해 있다. 전임 최수현 원장이 KB사태 등 잇단 금융사고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한 책임으로 사실상 경질된 만큼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는 게 시급하다. 우선 금감원 내부의 쇄신인사를 통해 흔들리는 조직을 추스르고 시장 신뢰를 되찾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겠다.

금감원은 지난해 동양 사태와 올 들어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KB금융 내분 등 각종 금융사고를 매끄럽게 처리하지 못했다. 금감원 간부가 연루된 KT ENS 대출사기 사건도 발생했다. 특히 KB금융 내분과 관련해선 전임 원장이 조기에 혼란을 수습하지 못하고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보여 사태를 키웠다. 이 과정에서 금감원 내부 갈등이 일어난 것은 물론 상급기관인 금융위와 마찰을 빚기도 했다. 청와대와 정치권 등 권력의 눈치를 보느라 중심을 잡지 못한다는 비판도 나왔다. 금감원의 권위와 위상이 땅바닥으로 추락한 이유다.

금감원은 수장 교체를 계기로 내부 혁신에 나서는 한편 글로벌 금융 흐름에 걸맞은 감독 방향을 세워 금융감독기구로서의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 진 신임 금감원장이 취임 일성으로 금융감독의 틀을 ‘불신의 기조’에서 ‘상호신뢰의 기조’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고 강조한 것도 시장과의 소통을 확대하겠다는 의미일 게다.

검정고시 출신의 입지전적 인물로 금융정책과 감독 분야의 전문성이 뛰어난 신임 금감원장이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금융 환경을 조성해주기 바란다. 금융사에 대한 건전성 감독은 철저하게 하되 시대적 추세인 자율규제와 규제개혁에도 힘써 금융산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경기회복에 진력하는 정부 당국과의 정책공조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금감원 설립 목적의 주요 업무 중 하나가 금융소비자 보호인 만큼 이 부분에도 만전을 기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