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들었다 놨다 하면 국익에 전혀 도움 안돼”

입력 2014-11-19 03:58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정치권에 급속히 확산된 ‘반기문 대망론’에 대해 공개적으로 제동을 걸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직접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황에서 설왕설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논리다. 차기 지도부 선출을 ‘눈앞의 과제’로 둔 상황에서 불필요한 논란을 잠재우겠다는 의도로도 풀이된다.

문 위원장은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반 총장을) 모실 마음이 있으면 가슴에 간직했다가 대통령선거 때 얘기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반 총장의 임기가 3년 가까이 남은 시점에서 국내 정치권이 반 총장을 “들었다 놨다 하면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는 설명이다. 같은 당 권노갑 상임고문에 의해 촉발된 반 총장의 ‘야권 대선후보 출마 타진설’에 대해서도 “밖에서 여니 야니 하는 것은 부질없는 논란”이라며 “만약 나온다고 해도 오로지 반 총장이 결정할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정치권을 향해 “우리나라가 배출한 가장 훌륭한 외교관으로 남을 수 있도록 자꾸 옆에서 건드리지 말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문 위원장은 공무원연금 개혁과 개헌, 예산안 처리 및 차기 전당대회 등 당 안팎 현안에 대해서도 막힘없이 의견을 개진했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 처리는 법정시한인 12월 2일까지 처리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다만 여야 합의에 의한 연기 가능성은 열어뒀다. ‘사자방’(4대강·자원외교·방산비리) 국정조사와 누리과정(취학 전 아동 교육비 지원) 예산편성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한 여야 간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문 위원장은 “시한은 못 박을 수 없지만 (처리 연기가) 가능하다”고 했다.

정부여당이 압박하고 있는 공무원연금 개혁은 내년까지 논의를 이어가겠다고 했다. 개혁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동의하지만 정부여당의 속도전에는 끌려가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문 위원장은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내년 내로 처리할 것이며, 야당의 개혁안도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개헌 논의에 대해서는 “제가 비대위원장으로 있는 한 개헌을 추진하는 데 앞장설 생각”이라며 “우리는 아직 직선제에 대한 향수가 있기 때문에 분권형 대통령제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근 논란이 된 ‘신혼부부에게 집 한 채를’ 공약에 대해서는 여당의 ‘무상 프레임’에 대해 정치공세라고 몰아붙였다. 문 위원장은 “무상의 무자도 안 나왔고 공짜라는 언급도 없었다”며 “정치적 꼼수는 옳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름을 잘못 지었다는 지적은 일리가 있다”고 인정했다.

한편 박근혜정부가 정부직을 제안할 경우 수락하겠느냐 질문에는 “천지개벽이 되지 않는 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박 대통령을 향해서는 “저는 박근혜 대통령을 존경하고 사랑한다. 꼭 성공하길 바란다”고 신뢰를 표했다. 그러나 “인간 박근혜와 대통령 박근혜에 대한 기대는 다르다”며 “‘천상천하 유아독존’ 같이 (대통령) 혼자만 있다”고 지적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