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내각이 중의원 해산을 통해 총선 국면으로 전환함에 따라 일본 정계에서 ‘투표 불평등’ 논란이 다시 불붙을 전망이라고 아사히신문이 18일 보도했다.
지난해 11월 일본 최고재판소는 전년도에 치러진 중의원 선거에 대해 ‘위헌’보다 한 등급 낮은 ‘위헌 상태’라고 판결했다. 당시 선거구별 ‘1표의 격차’가 최대 2.43배 벌어지자 변호사들이 “거주지에 따라 1표의 가치가 다른 건 헌법에 위배된다”며 소송을 제기했었다.
논란의 중심은 ‘1인 별도 기준 방식’이다. 이 제도는 중의원 정원 300석 중 47석을 광역자치단체에 우선 할당하고 나머지 의석은 인구에 비례해 배분하는 제도다. 최고재판소는 이 제도가 1표의 격차가 발생하는 근본적 원인으로 보고, 국회에 선거제도 개선을 권고했다. 앞서 2011년에도 최고재판소는 2009년 총선과 관련해 ‘1인 별도 기준 방식’을 폐지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사법부의 지적이 잇따르자 국회는 2012년 중의원 선거 직전 의원 정수를 5석 줄이는 법안을 마련했다. 2010년 인구조사를 기준으로 선거구 격차를 2배 미만으로 줄이는 내용이다. 하지만 선거명부 격인 주민기본대장에 따르면 올해 말 예정된 총선에서도 격차는 2배를 웃돌 전망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총선 ‘투표 불평등’ 논란 불보듯… 선거구별 1표 격차 최대 2.43배
입력 2014-11-19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