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전남도가 민선 6기 직후 대표적 정책연구 기관을 연말까지 통합하기로 했으나 차질을 빚고 있다. 통합연구원 출범을 위한 조례개정이 늦어진 데다 조직과 기금 등의 통합방식을 둘러싼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최근 광주발전연구원 설립 및 운영조례 전부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고 18일 밝혔다. 앞서 전남도 역시 지난 6일 유사한 조례를 도의회에 제출했다. 하지만 20일간의 입법예고 기간과 규칙심사 등을 거친 본회의 상정은 두 광역단체 모두 빨라야 내년 2월쯤 가능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광주시와 전남도 상생발전위원회 출범 당시 ‘상생 협력’의 첫 성과물로 기대를 모았던 양 연구원의 연내 통합은 어렵게 됐다.
규모가 다른 양 연구원의 기금과 조직 통합을 둘러싼 이견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광주발전연구원이 모태인 전남발전연구원은 164억원의 기금을 보유하고 있으나 광주발전연구원은 82억원으로 50% 수준에 불과하다. 통합연구원 청사 위치와 통합원장 선임, 통합조직 구성 등도 해결해야 될 과제다. 광주·전남지역 ‘씽크탱크’ 역할을 해온 발전연구원은 당초 1991년 태동했다. 이후 2007년 8월 지역특성에 맞는 미래지향적 발전방향 제시를 명분으로 광주발전연구원이 전남발전연구원에서 독립해 운영돼 왔다.
시 관계자는 “일방적 흡수통합은 염두에 두고 있지 않으며, 지방의회의 조례제정과 통합연구원 설립준비위 구성 등을 감안하면 내년 상반기에나 출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전남 정책연구 기관 통합 지지부진
입력 2014-11-19 0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