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2000년대 들어 이른바 ‘저우추취’(走出去·해외시장 개척) 전략에 따라 본격적으로 해외 자원 개발에 나섰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3월 공식 취임한 뒤 첫 순방지로 아프리카를 선택하는 등 해외 자원 외교에 나서며 측면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16일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와 중국 상무부 등에 따르면 중국의 에너지 분야 해외직접투자액은 2005년 80억 달러에서 2013년 628억 달러로 8배 가까이 늘었다. 에너지 분야는 중국의 전체 해외직접투자 규모 1010억 달러의 62%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2010년 국가 에너지 전략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가에너지위원회를 출범시켰다. 현재 리커창 총리가 최고 책임자인 주임을 맡고 장가오리 상무부총리(부주임)를 비롯해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 외교부장 상무부장 재정부장 등 21개 부처의 수장들이 참여한다. 전체적인 에너지 전략과 정책을 수립하고 해외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한 장기 대책은 국가에너지위원회에서 총괄 조정된다.
중국은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해 1997년 이후 에너지 순수입국으로 전환되면서 국가 차원의 대응 전략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현재 중국 내에서 소비하는 석유의 60%, 가스의 30%가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산유국인 중국의 원유 수입 의존율이 갈수록 높아져 오는 2020년 66%에 달할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다.
중국은 에너지 자원 문제를 정치·안보적인 차원에서 접근한다. 안정적인 에너지 자원 확보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필수적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은 공산당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시 주석은 지난 6월 중앙재경영도소조 회의를 주재하며 “에너지 안보는 국가 경제사회 발전 전반에 관련된 것이자 국가전략 문제”라고 강조한 바 있다.
중국 해외 자원 확보의 첨병 역할은 중국석유공사(CNPC), 중국석유화학공사(시노펙·Sinopec),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 등 3대 국영 석유기업이 맡고 있다. 이들 기업은 초기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수단, 잠비아 등 아프리카 자원부국에서 유전광구 개발 탐사권 등을 확보했다. 중국의 자원 사냥은 아프리카를 넘어 세계로 번지고 있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해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워 미국과 캐나다, 호주 등으로 다변화했다. 특히 2013년 CNOOC는 캐나다 석유업체 넥센을 최종 인수해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인수금액이 무려 151억 달러로 중국 기업으로는 사상 최대였다.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 관련기사 보기◀
[MB정부 자원외교 논란] 중국의 자원외교는… 2000년대 들어 ‘저우추취’ 본격화
입력 2014-11-17 02:58 수정 2014-11-17 0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