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한·중·일 3국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적으로 전격 제안했다. 한·중·일 3국 정상회담 제안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대화 테이블 마련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는 점에서 국내외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미얀마를 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수도 네피도 미얀마국제회의센터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를 공동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지난 9월 서울에서 3국 고위관리회의를 개최한 데 이어 머지않은 장래에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이 개최된다”며 “이를 토대로 한·중·일 3국 정상회담도 개최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번 제안은 박 대통령이 지난 10일 중국 베이징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가진 한·중 정상회담에서 3국 외교장관회의의 연내 개최 필요성에 대해 공감한 데 이어 나온 것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년 초 3국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은 중·일 정상회담과 억류 미국인 석방에 따른 북한의 ‘통미봉남(通美封南)’ 가능성 등으로 우리 정부의 외교고립 우려가 이어지자 전격적으로 ‘공세적’ 외교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풀이된다. 이명박정부 당시인 2008년부터 연례화됐던 3국 정상회담은 2012년 5월 베이징 회담 이후 지금까지 열리지 못했다.
3국 정상회담 채널이 가동되면 아베 총리의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문제, 독도 영토갈등 등으로 인해 극도로 악화된 한·일 관계의 개선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북핵을 비롯한 대북 문제에 대한 3국 간의 대화와 협력이 더욱 긴밀해질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아세안이 보여준 협력 증진과 갈등 해소, 신뢰 구축의 모범을 동북아에 적용한 것이 바로 한국의 동북아평화협력구상”이라며 “이러한 노력을 통해 협력의 공감대가 (한·중·일) 동북아 3국 간 협력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어 “아세안+3 참가국 정상들에게 북한의 비핵화와 온전한 달성, 한반도 평화와 안정이 동아시아 평화의 동력이 될 것”이라며 회원국들의 지속적인 협력과 지지를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또 다음 달 11∼12일 부산에서 개최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아세안+3 협력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급변하는 국제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아세안+3가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도약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과 보건 분야 등에서 실질적인 협력 강화를 강조했다. 또 역내 금융안전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의 지속 강화 필요성도 제기했다.
박 대통령은 동아시아정상회의(EAS)와 아세안+3 정상회의 일정을 모두 마치고 호주 브리즈번으로 옮겨 한·호주 정상회담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네피도(미얀마)=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韓中日 정상회담 열자” 朴 대통령, 전격 제안
입력 2014-11-14 05:34 수정 2014-11-14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