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해군의 통영함 선체고정 음파탐지기(Hull Mount Sonar·HMS) 41억원 구매에 대한 감사를 진행 중인 가운데 해당 HMS 제작 업체가 이 장비 가격은 2억500여만원(18만8000달러)이라고 직접 확인하는 이메일을 장비 구입 5년 뒤인 지난 6월 방사청에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 방사청이 중개업체에 41억원이나 주고 이 장비를 사기 전 간단한 사실 확인만 거쳤더라도 국고 손실을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다.
국민일보가 11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문서에 따르면 방사청 산하 기관인 국방기술품질원은 감사원 감사가 진행 중이던 6월 11일 HMS 제작 업체인 미국 W사에 HMS(모델명 MS3850) 가격을 문의하는 이메일을 보냈다. 이후 국방기술품질원과 W사는 HMS의 정확한 기종을 묻는 이메일을 한 차례씩 더 주고받았다.
W사는 1주일 뒤인 같은 달 18일 ‘HMS의 총 가격(Total price)은 18만8000달러’라는 내용의 견적서를 국방기술품질원에 보냈다. 방사청이 41억원에 사온 장비를 제작 업체가 2억원대라고 반박하는 모양새가 된 셈이다. 방사청은 2009년 이 장비를 W사를 통해 직접 구매하지 않고 ‘하켄코’라는 중개 업체를 통해 41억원에 사왔다. 하켄코 대표는 검찰의 통영함 비리 수사로 현재 구속된 상태다.
국방기술품질원이 지난 6월 제작 업체인 W사에 직접 가격을 의뢰한 것은 당시 감사원이 방사청에 해당 장비의 가격을 보고하라고 지시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방사청과 국방기술품질원은 지금까지 수차례 “HMS 구매 당시엔 이 장비가 개발 중인 장비여서 가격 정보를 알기 어려웠다”고만 밝혀 왔다. 이에 따라 장비 구매 계약을 맺을 당시에도 구매 목표가를 하켄코사가 제시한 가격을 기준으로 잡았다.
김 의원은 “방사청은 이미 6월에 해당 장비의 적정 가격을 통보받았지만 국정감사가 끝난 지금까지도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HMS 등 통영함 관급 장비의 가격 산정 과정이 총체적으로 부실했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드러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방사청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감사원 감사와 검찰 수사 중인 사안이라 입장을 밝히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감사원과 방사청 모두 아직 HMS 가격에 대한 공식 입장은 밝히고 있지 않는 상태다.
임성수 유동근 기자 joylss@kmib.co.kr
[단독] 防産 ‘뻥튀기 수입’ 눈뜨고 당했다
입력 2014-11-12 0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