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태신(사진) 한국경제연구원 원장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타결로 큰 타격이 예상되는 농축식품 분야도 중국 소비시장 진출을 통해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최근 중국에서 ‘고기를 구워먹는’ 한류가 확산되는 현상을 예로 들며 한·중 FTA가 농축식품 분야에 새로운 시장을 열어줄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권 원장은 10일 기자간담회에서 “개방을 통해 경쟁체제가 도입된 국내 산업들이 모두 성공을 거뒀다”며 전자, 유통, 화장품 등을 그 예로 들었다. 이어 농축식품 분야에서도 중국 시장 진출과 경쟁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주장을 폈다.
그 근거로 권 원장은 중국 식품산업이 연평균 15%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한류의 영향으로 김치·유자차·김·라면 등 한국 식품의 중국 내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 최근 중국 시장에서 가격은 다소 비싸지만 질이 좋은 한국 농산품을 찾는 사례도 늘고 있다고 전했다.
축산업도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한 전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원장은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고기를 볶거나 튀겨 먹었는데 최근 한국을 방문했던 중국 관광객이나 중국 부유층 사이에서 갈비 등 고기를 구워먹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급육 시장의 75%를 수입품에 의존하는 중국은 한국 축산업계에 큰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제조업 분야는 중국 기업의 대량생산을 통한 시장가격 하락 사태를 우려했다. 권 원장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와 더불어 업종별로 중국 부유층의 소비성향 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한-중 FTA 타결 이후] “농축식품, 새로운 기회 될수도”
입력 2014-11-12 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