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시대가 열림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큰 피해가 예상되는 농업 분야는 살리고, 다른 분야는 시장 개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전북도는 농업 분야의 경쟁력을 높이고 중국 유통시장을 공략하는 방안 등을 선제적으로 마련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도는 큰 피해가 예상되는 곡물과 원예작물 생산·유통분야에 161억원, 생산비 절감과 친환경농업육성 분야에 36억원을 각각 내년에 투입키로 했다. 더불어 도는 ‘대중국 농수산식품 수출 활성화’ 사업도 꾸준히 추진키로 했다.
반면 전북도는 FTA 타결로 국내 최초의 글로벌 경제협력특구 조성을 추진 중인 새만금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활성화 방안을 적극 개발키로 했다.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계획 단계에서 개발, 기업 유치까지 중국과 협력해 새만금을 동북아의 자유무역 거점, 중간재 생산·가공·수출의 핵심기지로 키우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한·중 경협단지를 중심으로 새만금을 글로벌 경제협력과 자유무역의 중심지로 만들겠다”면서 “농업분야는 현장 의견을 수렴해 피해를 줄이는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충북도는 전략산업인 화장품·바이오 산업이 한·중 FTA의 대표 수혜주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관련 기업과 기관 유치에 주력하기로 했다. 도는 도내 바이오기업의 연구 성과 창출을 위해 5년간 100억원을 지원하는 한편 올해 바이오엑스포와 같은 종합박람회를 2018년에 개최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한·중 FTA는 충북의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도 있는 만큼 후속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도도 공세적으로 전환해 우수 농·식품에 대한 강력한 수출 드라이브 정책을 시행키로 했다. 경북도는 2008년 전국 최초로 FTA대책특별위원회를 설립하고 농민사관학교 설립, 농어촌진흥기금 조성 등을 통해 FTA를 대비해 왔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중국산이 밀려오면 농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대구경북연구원과 농어업인, 전문가 등이 함께하는 전담대책팀을 구성하고 다음 달 중으로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원도는 농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부자농업·행복농촌 비전 2020’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도는 2020년까지 7조1178억원을 농업분야에 투자해 품목 경쟁력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이밖에 제주도는 거대한 중국 소비시장을 겨냥해 ‘청정 농축수산물 수출 프로젝트’를 펼쳐 나가기로 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전국종합 ygkim@kmib.co.kr
농업 경쟁력 높이고 수혜산업 선제적 공략
입력 2014-11-12 0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