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작물 직불제 검토… 정부, 농업피해 대책 착수

입력 2014-11-11 02:51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사실상 타결됨에 따라 정부는 최대 피해 우려 분야인 농업 부문 피해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그동안 정부의 농업 선진화 방안에서 비켜나 있던 밭농업 분야 대책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그동안 협상 과정에서 예상 시나리오별로 농민과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등과 대응 방안을 검토해 왔다”면서 “앞으로 6개월 내에 최종 협상 결과를 놓고 그 영향을 분석해 피해보전 대책과 경쟁력 강화, 대중국 수출 확대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한·중 FTA에서 쌀, 주요 채소류 등 예민한 품목이 양허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전반적으로 취약한 우리 농수축산 분야의 특성상 시장 개방도가 높아진 것만으로도 위축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생산과 유통, 수급 등이 취약한 것으로 지적되는 밭작물에 대한 보호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정부는 종합대책에서 밭 기반 정비 등 밭작물 경쟁력 제고와 밭직불제 등을 담을 계획이다. 동시에 우리 농식품의 중국 진출 확대를 위한 농식품산업 육성 등 소비·수출기반 확대 방안 등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조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