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이 10일 전격 타결되자, 농민들은 농수산물 시장 개방으로 한국 농업에 큰 타격이 우려된다며 거세게 반발했다. 농민들은 한·중 FTA 저지와 쌀 시장 전면개방 반대 시위를 전국 곳곳에서 벌였다.
전국농민단체연합회 전북도연맹은 익산과 정읍·고창 등 6개 시·군에서 쌀 야적 시위를 벌였다. 농민들은 “역대 모든 통상 협상에서 농업분야는 항상 양보와 희생의 대상이었다”며 “수입 농산물의 대규모 유입으로 국내 농산물 값이 폭락한 현실에서 한·중 FTA가 한국 농업에 끼칠 영향은 핵폭탄과 같다”고 비판했다. 조상규 전북도연맹 의장은 “정부가 쌀은 협정대상에서 제외됐다고 마치 대단한 전리품이라도 챙긴 것처럼 말하고 있다”면서 “농업을 살리고 식량주권을 지켜내기 위한 의로운 싸움에서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부산경남연맹 등은 경남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한·중 FTA 농업 피해 규모는 앞으로 15년간 29조원으로 추산되는데, 정부의 대책은 어느 것 하나 실효성이 없다”며 “한국 농업에 대한 사형선고인 막가파식 한·중 FTA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식량주권과 먹거리 안전을 위한 충북운동본부도 충북도청 앞에서 출범식을 갖고 “마늘과 양파, 고추, 배추, 과일 등 무분별한 개방은 농축산물 가격 폭락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한·중 FTA는 농업에 재앙을 몰고 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농 강원도연맹도 결의대회를 열고 “중국은 낮은 생산비와 풍부한 노동력, 넓은 농지와 지리적 이점을 앞세워 국내 농업시장의 70%를 장악하고 있다”면서 “이번 FTA 체결로 국내 농업 붕괴는 시간문제”라고 주장했다.
지역 도의회도 반발하고 나섰다. 제주도의회 의원들은 행정사무감사를 중단하고 기자회견을 열어 “감귤 등 제주 11개 전략 품목의 양허 제외와 FTA 무역이득 공유제 도입 등 요구 사항을 관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의회도 성명을 통해 “FTA 이행지원기금 조성 등 ‘농업·농촌 활성화 지원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시행하고 농산물 최저가격 보상제 등을 제도화할 것”을 요청했다.
전국농민회는 11일 상임집행위원회를 열어 향후 투쟁 방침을 논의하고, 오는 20일 서울에서 대규모 농민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전국종합
[한-중 FTA 타결] “농민에겐 사형선고”… 전국 곳곳서 시위
입력 2014-11-11 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