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와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주요 경제단체들은 10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소식에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대중 교역량이 늘어나면서 국내 기업의 중국 진출이 쉬워지고, 국익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란 장밋빛 전망도 이어졌다.
FTA 민간대책위원회(이하 FTA 민대위)는 10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한·중 FTA 타결 대국민 성명’을 통해 “우리의 최대 교역국 중국과의 FTA 협상이 실질적으로 타결된 걸 환영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교역규모 세계 1위, 경제규모 세계 2위 중국과의 FTA는 앞으로 우리 산업과 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FTA 민대위는 FTA 협상과 관련한 업계 의견 수렴부터 대정부 건의, 협상지원, 홍보 등 FTA에 대한 민간 차원의 종합적·체계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 2006년 출범한 기구다. 한국무역협회, 대한상의, 전경련, 중소기업중앙회 등 4대 경제단체와 은행연합회 등 업종별 단체, 연구기관 등 총 42개 단체·기관으로 구성됐다. 성명 발표에는 한덕수 한국무역협회 회장,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김기문 중기회 회장, 박병원 전국은행연합회 회장 등 FTA 민대위 공동위원장 5명이 참석했다.
FTA 민대위는 특히 “한·중 FTA는 중국이 이미 체결한 다른 FTA에 비해 협정의 범위가 포괄적이고 개방 수준이 가장 높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면서 “우리 식품과 농산물의 중국 수출 잠재력을 크게 높이면서 농업의 취약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 FTA”라고 평가했다.
또 한·중 FTA는 관세장벽 완화 이외에도 서비스, 투자 분야의 개방과 규범 및 협력 분야를 포괄하고 있어 향후 우리 업계의 대중국 비즈니스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내놨다. 한·중 FTA를 계기로 향후 중국의 한국에 대한 투자와 양국 기업의 합작은 물론 중국 시장을 겨냥한 제3국의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제조업 분야에서 중국의 관세 인하가 우리 업계가 원하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점은 다소 아쉽다”며 “우리 농산물의 민감성을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과라는 점을 이해한다”고 덧붙였다.
FTA 민대위는 중국 시장개방 선점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한·칠레 FTA, 한·미 FTA 비준 과정에서 경험한 소모적 논쟁을 최소화해 한·중 FTA를 조기에 발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계는 중 FTA를 최대한 활용해 한국 경제의 활력을 되찾고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재계 “新성장동력 될 것” 일제히 환영
입력 2014-11-11 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