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환경부가 용산 미군기지 내부의 토양오염을 직접 조사하기 위한 사업계획서를 미군에 제출하고 이르면 이달 중으로 한미 환경공동실무협의체를 열 예정이다. 우리 측의 거듭된 요구에도 내부 직접 조사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 온 미군의 입장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서울시 물관리정책과 관계자는 9일 “지난 8월 환경부를 통해 기지 내부의 오염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사업계획서를 정식으로 제출해 곧 실무협의가 열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지난해 6월부터 지금까지 4차례 실무회의를 열었지만 기지 내부 조사가 안건으로 올라가는 것은 처음이다.
서울시는 2001년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 부근에서 기름 유출이 처음 확인된 후 매년 5억원가량을 들여 정화작업을 해 왔지만 기지 밖에서만 이뤄져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시는 녹사평역 부근에서는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32.7ℓ, 캠프킴 주변에서는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01.4ℓ의 부유기름을 제거했다. 그러나 용산기지 주변 오염은 여전히 심각한 상태다. 서울시가 지난해 한국농어촌공사에 의뢰해 용산기지 근처 토양·지하수의 오염물질 농도를 조사한 결과, 발암물질 벤젠이 기준치의 1000배 넘게 검출됐다. 톨루엔도 최고 농도가 기준치의 3배, 에틸벤젠은 5배, 크셀렌은 6배, 석유계통탄화수소는 4배였다.
시 관계자는 “녹사평역 토양·지하수를 근본적으로 정화하기 위해서는 용산기지 내부 조사가 반드시 필요해 거듭 요구했지만 미군 측은 ‘자체 정화가 끝나 시급하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며 “이번 회의에서 잘 설득해 협조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용산 미군기지 내부 오염 조사 가능할까
입력 2014-11-10 0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