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대출은 은행을 울고 웃게 한다. 금액이 커서 유치했을 때 수익에 큰 도움이 되지만 반대로 기업에 문제가 생기면 바로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리스크 관리를 못해 대규모 충당금을 적립하게 되면 그간 차곡차곡 쌓아온 수익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실적도 충당금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다.
하나금융지주는 3분기 동부제철과 모뉴엘 등으로 인해 대규모 대손충당금을 쌓으면서 순이익이 17% 감소했다. 하나은행이 동부제철 자율협약으로 440억원, 외환은행이 모뉴엘 법정관리로 240억원을 쌓았다. 지난 1분기에는 KT ENS 1조8000억원 대출사기 충당금이 발목을 잡았었다. 다른 은행도 마찬가지다. 특히 중소기업 여신이 많은 IBK기업은행의 경우 3분기 모뉴엘(422억원)을 포함해 3분기에만 4193억원의 충당금을 쌓았다.
대손충당금은 은행이 빌려준 돈을 회수하지 못할 것을 대비해 쌓아두는 것으로, 대손충당금 규모가 해당 분기의 실적을 좌우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영업을 통해 열심히 수익을 내도 기업 하나 무너져 대규모 충당금을 쌓게 되면 한 해 농사 망친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대손충당금에는 두 가지 시각이 존재한다. 신한·우리은행은 이번 모뉴엘 대출에 이상한 점이 있다고 사전에 감지하고 여신을 회수했다. 리스크 관리가 잘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반면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대출해 현재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방향에 어긋난다는 부정적 시각도 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리스크 관리가 중요한데 현장에선 기술을 평가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기술금융 확대 정책에 건전성에 문제가 생길까 염려된다”고 말했다.
한편 관세청 서울본부세관은 모뉴엘의 해외도피 재산이 당초 발표했던 446억원보다 89억원 늘어난 535억원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서울세관은 모뉴엘 조사를 마무리하고 검찰에 사건을 송치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기획] 모뉴엘 등 부실기업 대손충당금 때문에 하나금융 울고 신한금융 웃었다
입력 2014-11-08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