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제대로 이해하고자 답사기 써”

입력 2014-11-05 03:57

유홍준(65·사진) 명지대 석좌교수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일본 편’을 제4권 ‘교토의 명소’ 출간으로 완간했다. 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유 교수는 일본을 제대로 이해하자는 취지에서 일본 답사기를 썼다고 밝혔다.

일본 답사기는 규슈를 시발로 아스카·나라, 그리고 ‘교토의 역사’에 이어 이번 ‘교토의 명소’로 종결됐다. 그는 “일본은 (고대문화의 상당 부분을 한반도에서 받아들였다는) 과거사의 콤플렉스에 우리를 무시하고, 우리는 근세사의 비극 때문에 일본을 무시하는 실정”이라며 “일본이 우리 문화를 받아들인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일본의 모든 것을 죄다 우리가 주었다고 이해해서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에서 가장 본받을 점으로 장인정신을 꼽았다. 한일월드컵 당시 일본 측 대회 조직위원장이 한국 대표단을 자신의 붕어빵집으로 데려간 사실을 환기하면서 “그집 가훈이 ‘머리부터 꼬리까지 팥’이었다. 속여서 붕어빵을 만들지 않겠다는 표현 아니냐? 일본에는 이런 장인정신이 곳곳에서 살아 있으며 그것이 부럽다”고 말했다.

일본에 대한 비판도 빠뜨리지 않았다. 유 교수는 “일본은 자발적인 희생으로써 민주주의를 이룩한 적이 없다”면서 “일본의 민주주의는 다이쇼(大正)시대 탁상에서 논한 민주주의와 점령군 맥아더가 강제로 심은 민주주의밖에 더 있느냐”고 반문했다.

유 교수는 “지금으로서는 문화유산 답사기의 중국 편을 할 생각이 없다”며 “중국 편을 한다면 일본 편보다 더 길어야 하니 70세까지 해야 한다는 말인데 그러기는 힘들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요즘 남한강변을 따라 충청북도에서 경기도를 거쳐 서울로 내려오는 답사기를 쓰기 위해 작업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