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우 서울 동작구청장이 지난 6·4지방선거에서 경쟁 후보를 매수했다는 의혹이 일어 경찰이 수사 중이다. 경찰은 새정치민주연합 공천을 받아 출마한 이 구청장이 문충실 전 구청장에게 후보 단일화 조건으로 7000만∼8000만원을 건넨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의혹은 새정치연합 소속 현직 동작구청장이던 문씨가 당내 후보 심사에서 탈락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투표를 불과 1주일여 앞두고 돌연 후보직을 사퇴할 때부터 제기됐었다.
일단 양측이 혐의 사실을 완강히 부인하고 있어 무엇이 진실인지 단정하기는 이르다. 하지만 지금까지 경찰 수사 결과 드러난 여러 정황을 종합해볼 때 후보 사퇴 대가로 돈이 오갔을 개연성을 부정하기 어렵다. 후보 매수는 유권자의 선거권을 침해하는 중대 범죄로 민주주의 근간인 선거제도 자체를 부정하는 행위다.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이 후보를 매수해 쫓겨난 사건이 아직도 국민들 뇌리에 생생한데 이런 의혹이 또 불거졌다는 건 우리 민주주의가 갈 길이 멀다는 방증이다. 모든 선거 부정은 “당선만 되면 그만”이라는 그릇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인 만큼 철저히 수사해 엄벌로 다스려야 유사 사례를 막을 수 있다.
선거사범 공소시효 기간은 6개월로 이 사건에 대한 공소시효는 다음달 4일까지다. 그러나 법원의 이 구청장 집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영장 기각 등으로 경찰 수사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럴수록 확실한 물증에 근거한 과학수사를 해야 한다. 그래야 정치적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시시비비도 잡음 없이 확실하게 가릴 수 있다.
경찰 수사 이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 새정치연합의 태도는 이해하기 어렵다. 자당 소속 현직 구청장의 추문이 불거졌는데도 유감 표시 등 아무런 입장도 표명하지 않는 것은 책임 있는 공당의 자세가 아니다. 새정치연합은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진상규명을 경찰에만 맡겨선 안 된다. 즉각 자체 진상조사에 착수해 진실을 밝히는 데 힘을 보태야 한다. 그것이 떨어진 지지도를 회복하는 길이고, 동작구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다.
[사설] 새정치연합도 후보매수 의혹 규명에 힘 보태야
입력 2014-11-04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