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일 북한이 대북전단(삐라) 살포 중단 조치 전 남북대화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수용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특히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2차 남북 고위급 접촉이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북한이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성명을 통해 민간의 자율적 전단 살포에 대해 우리 정부가 비호·지원한다고 왜곡했다”며 “이를 빌미로 남북대화를 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대통령을 실명으로 비난하고 국민에 대해 ‘처단’ 운운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언동”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일 조평통 명의의 성명을 인용해 “우리의 최고 존엄을 악랄하게 훼손하는 삐라 살포 망동을 중단하지 않는 한 그 어떤 북남대화도, 북남관계 개선도 있을 수 없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4일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폐막식 직전 합의된 10월 말∼11월 초 2차 고위급 접촉 개최는 사실상 무산됐다. ‘북한 실세 3인방’의 전격 방남으로 조성된 남북대화 국면도 다시 경색 국면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해졌다. 상대방 지도자를 서로 비난하며 갈등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이 박근혜 대통령을 삐라 살포의 배후로 지목한 데 대해 “자신들의 최고 존엄만 생각하는 비이성적 행태”라고 꼬집었다.
하지만 정부는 대화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않았다. 임 대변인은 “고위급 접촉이 개최될지는 부당한 전제조건 철회 등 북한 태도에 달려 있다”며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모든 현안을 대화의 장에서 해결한다는 정부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정부 “2차 고위급 접촉 사실상 무산”
입력 2014-11-0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