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지방선거에서 후보 매수 의혹(국민일보 11월 1일자 1면 보도)이 제기된 이창우(44) 서울 동작구청장이 후보 사퇴 대가로 문충실(64) 전 동작구청장에게 7000만∼8000만원을 전달한 정황을 경찰이 확보하고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이에 더해 후보 단일화 조건으로 구청 간부 인사권 50% 보장, 새정치민주연합에 ‘자리’ 알선 등도 합의했던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경찰은 지방선거 사범에 대한 공소시효(6개월)가 다음 달 4일 만료되는 점을 감안해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동작구청장 선거 무슨 일 있었나=새정치연합은 지난 4월 23일 시·도당위원장단 회의를 열고 지방선거 후보 자격 1차 심사 결과를 의결했다. 문 전 구청장은 새정치연합 소속 현역 서울 구청장 19명 가운데 불출마를 선언한 고재득 성동구청장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심사에서 탈락했다. 부인 이모씨가 2010년 6·2지방선거 때 당내 경선지원 청탁과 함께 야당 중진의원 보좌관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건넸다가 기소된 게 결정적 사유였다. 부인은 지난 9월 1심 재판에서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이 선고됐다.
문 전 구청장은 지난 5월 초 ‘명예회복’을 선언하며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새정치연합은 후보 등록 마감 전날인 5월 15일까지 100% 국민여론조사 방식으로 당내 경선을 벌여 1위를 차지한 이 구청장을 후보로 확정했다. 동작구청장 선거는 새정치연합(이창우)과 새누리당(장성수) 및 무소속 후보 4명 등 6명이 경쟁하는 구도가 됐다. 정치권에서는 이 구청장과 장 후보, 문 전 구청장의 3파전이 될 거란 관측이 많았다. 이 구청장으로서는 같은 당 출신에 현직 프리미엄도 있는 문 전 구청장과 지지층이 상당부분 겹쳐 부담스러운 상황이었다.
경찰은 이 때문에 이 구청장과 문 전 구청장 측이 공식 선거운동 시작일(5월 22일) 이전에 후보 단일화를 목적으로 한 이면 거래를 시도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양측 사이의 연락책 역할은 문 전 구청장 비서실장을 지낸 이모씨가 담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그간 참고인 조사 등을 통해 이 구청장과 문 전 구청장 측이 ‘선거비용 보전, 동작구청 간부 인사권 절반씩 분할’ 등의 내용에 합의했던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히 이 구청장이 문 전 구청장의 후보 사퇴 이전에 선불금 명목으로 7000만∼8000만원을 전달했다는 진술도 받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문 전 구청장은 이 돈으로 이미 지출한 선거사무실 유지비, 홍보 판촉물 제작비 등을 정산했을 수 있다는 게 경찰 판단이다. 경찰이 지난달 31일 압수수색 대상에 플래카드 제작업체를 포함시킨 것도 이와 관련된 입증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보인다.
문 전 구청장은 5월 27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 구청장 지지 의사를 밝히며 후보를 사퇴했다. ‘새누리당 후보의 승리는 막아야 한다’는 명분을 내걸었다. 사퇴 직후 새정치연합은 당초 열세로 봤던 동작구를 경합 지역으로 한 단계 올려 분류했다. 지역의 한 정치권 인사는 2일 “두 사람이 후보 단일화를 하면서 모종의 거래를 했다는 소문은 문 전 구청장 사퇴 직후부터 흘러나왔다”고 말했다.
◇경찰, 관련자 진술·물증 확보에 주력=경찰은 공소시효 등을 고려해 최대한 신속히 당사자들에 대한 소환 조사를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구청장과 문 전 구청장은 여전히 ‘사실 무근’이란 입장이다. 이 구청장은 지난달 3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전혀 근거가 없는 얘기”라며 여유롭게 웃기까지 했다.
경찰은 후보 단일화 관련 내용을 알만한 양측 선거 캠프 관계자 진술과 이를 뒷받침할 정황 증거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문 전 구청장 자택 압수수색 때도 뒷거래 관련 문건 확보에 집중했다. 당일 이 구청장 집무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도 계획했지만 압수수색영장이 법원에서 일단 기각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미 문 전 구청장의 전 비서실장 이씨도 여러 차례 불러 조사했다고 내부 사정을 잘 아는 한 인사가 전했다.
강창욱 문동성 지호일 기자 theMoon@kmib.co.kr
[단독] 이창우 동작구청장, 문충실 후보 매수의혹 수사 속도
입력 2014-11-03 0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