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문희상·우윤근 투톱 ‘세월호법’ 넘었지만… 큰 파도 넘실

입력 2014-11-03 02:47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왼쪽)과 우윤근 원내대표가 지난달 31일 국회 당 대표실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필담을 나누고 있다. 국민일보DB

새정치민주연합의 '구원투수'로 나선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과 우윤근 원내대표가 '세월호 특별법'이라는 '험한 산'을 가까스로 넘었다. 박영선 전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논란 끝에 사퇴한 뒤 '투 톱'으로 역할을 분담한 두 사람은 길었던 세월호 '터널'을 통과하는 데는 일단 성공했다.

하지만 차기 전당대회 준비, 예산 정국 등 과제가 첩첩산중이어서 현 상황이 폭풍전야의 일시적 평화라는 평가도 나온다.

문 비대위원장은 취임 이후 세월호 특별법 정국에서 유가족 ‘동의’ 대신 ‘양해’라는 표현을 쓰며 협상에 물꼬를 텄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는 긴밀히 소통하며 얼어붙었던 여야 협상 분위기를 녹이는 데 힘을 썼다.

특히 취임 이후 ‘당의 규율’을 강조하는 한편, 비대위에 문재인·박지원·정세균 비대위원 등 각 계파 수장을 비대위로 불러들여 당내 불협화음을 최소화했다. ‘박영선 합의안’과 큰 차이가 없는 지난달 31일 세월호 특별법 합의에 대해 당내 강경파들이 잠잠한 것도 문 위원장의 ‘군기잡기’가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지도부의 한 의원은 2일 “박 전 원내대표 당시 정점을 찍었던 당내 갈등이 점차 사그라지는 시점에 비대위원장을 맡아서 마무리를 잘했다”며 “세월호 정국을 벗어나서 예산과 입법에서 조금 더 야당성을 부각시켜 지지층의 마음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자원외교와 방산비리 등에 대한 국정조사를 통해 전통적 지지층을 결집시킨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우 원내대표는 ‘친노(친노무현) 색채가 짙다’는 우려 속에 경선까지 치르면서 원내 사령탑에 올랐다. 하지만 세월호 특별법과 정부조직법 등 ‘세월호 3법 협상’을 약속한 기한 내에 타결시키는 결과물을 만들어냈다. 우 원내대표 측은 “세월호 3법 협상 타결 당일에도 의원들에게 일일이 협상 내용을 직접 설명하는 등 소통에 가장 신경 썼다”고 전했다.

하지만 투 톱의 과제는 여전하다. 우선 내년 2월 초로 전망되는 차기 전당대회 준비가 큰 산이다. 문 비대위원장은 평소 공·사석에서 “전당대회를 아무 탈 없이 잘 치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해왔다.

현재 진행 중인 지역위원장 선정이 끝나면 이달 중순부터 전당대회 준비가 본격화된다. 비대위원 다수가 차기 전대 예상 출마 후보들이어서 전당대회 룰 조정은 매우 민감한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당 안팎에서는 이달 말이 되면 전대 출마를 희망하는 비대위원들이 지도부에서 사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전당대회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일부 비대위원들이 지역을 샅샅이 돌고 있다는 말도 돌고 있다.

우 원내대표는 정기국회에서 예산과 법안으로 성과를 내야 한다. 특히 올해부터 시행되는 예산안 자동 상정 때문에 예산 심사는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은 “예산안을 다음 달 2일까지 처리하려면 매일 예산 관련 회의체가 열리고 당 지도부 최고위원들이 나서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너무 조용한 상황”이라며 “비대위원들은 온통 전당대회에 신경이 쏠려 있고,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는 주말에 일정도 잡지 않는 등 지나치게 소극적인 모습”이라고 우려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