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에모리대학 병원에서 한국인 김백(54·사진) 박사가 에볼라 신약 개발을 이끌며 주목받고 있다. 이 병원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미국인 환자 4명을 모두 살려내 세계의 이목을 끈 바 있다.
이 대학 의과대학원 소아과 교수이자 신약개발센터 소장인 김 박사는 1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전 세계적으로 에볼라 확산 상황이 심각한 만큼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면서 “9월 중순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신약 개발 연구 협조 요청을 받고 미 국립보건원(NIH)의 연구 지원을 기다리는 중”이라고 전했다.
김 박사는 경희대 약대를 졸업하고 연세대에서 생화학 석사, 미 애리조나대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뉴욕 로체스터대 미생물학·면역학 교수를 거쳐 지난해부터 에모리대에서 신약개발센터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체내 항바이러스 단백질(SAMHD1)이 에이즈 바이러스(HIV)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밝힌 김 박사의 연구 논문은 2012년 3월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리기도 했다.
그는 “유전자 복제라는 측면에서 에이즈나 에볼라나 비슷하다”면서 “유전자 복제 시스템을 연구하던 중 동료와 에볼라와 관련한 새로운 약을 만들어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에이즈 발병 후 첫 치료제가 약 10년 만에 나왔고 이후 15년간 20여종의 치료제가 더 개발됐다”면서 “거대 제약사들이 본격적으로 개발에 뛰어든다면 에볼라 치료제는 훨씬 빨리 시판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에모리대 신약개발센터는 에이즈와 C형 간염 등의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에서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 박사는 “에볼라 환자를 완치한 의료진의 보고서가 신약 개발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에볼라 신약개발 이끄는 김백 교수 “거대 제약사가 개발 뛰어든다면 에볼라 치료제 시판시기 앞당길 것”
입력 2014-11-03 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