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국립공원을 보호·관리하기 위해 관람료를 징수하는 방안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다.
제주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는 한라산 탐방객 급증에 따른 관리 및 보전대책 재원확보를 위해 관람료를 징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2일 밝혔다. 정부는 2007년부터 전국 국립공원에 대한 입장료를 폐지했다.
제주도는 한라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것은 물론 세계자연유산과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돼 있는 점을 활용, 입장료 대신 관람료를 징수해 탐방객 안전시설과 편의시설 확충, 환경 훼손에 따른 관리 및 보전 비용으로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한라산 탐방객 수는 2006년 74만5000명에서 지난해 120만7000여 명으로 급증했다. 이에 따라 등산로 주변 도로가 탐방객 차량으로 몸살을 앓고 있으며, 쓰레기 처리문제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정부는 그러나 한라산만 관람료를 징수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국비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제주도는 한라산국립공원 입장료가 폐지되면서 매년 8억여원을 정부로부터 보전 받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세계자연유산지구를 탐방하기 위해 800∼2000원의 관람료를 징수하고 있어 한라산도 관람료를 징수할 근거가 있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한라산 관람료 징수 추진 논란
입력 2014-11-03 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