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비(非)소세포폐암은 완전 절제를 통해서 완치가 가능하지만, 아직도 많은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은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 병기에 진단되거나 수술 후 재발로 인해 전신 항암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표적치료제 투여를 필요로 하게 된다.
표적치료제는 한마디로 발암유전자를 표적으로 삼아 작용하는 항암제를 말한다. 정상세포에 대한 공격보다는 특정 발암 유전자를 가진 암세포만 집중 공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렇다면 비소세포폐암의 발암유전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이른바 발암유전자는 비소세포폐암 중 주로 선암 종류에서 몇 개가 밝혀져 있다. 선암 환자의 약 15%에서 발견되는 EGFR 유전자 돌연변이(아시아인의 경우 약 40%에서 나타남)와 선암 환자의 약 5%에서 발견되는 ALK 유전자 융합 변이가 대표적이다. 현재 이들 유전자 변이의 활성화를 막는 EGFR억제제와 ALK억제제가 표적치료 항암제로 개발돼 임상에서 쓰이고 있다. 선암 환자의 약 1%에서 발견되는 ROS1이나 RET 유전자 변이에 대한 표적치료제도 개발되고 있다.
이중 EGFR 돌연변이 유전자가 있는 암세포를 집중 공격하는 항암제는 ‘이레사’와 ‘타세바’가 대표적이다. 두 약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로 쓰이기 시작한 지도 벌써 10년이 지났다. 과거 전이성/재발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생존율은 진단 후 평균 12개월에 불과했다. 하지만 EGFR 돌연변이 환자들에게 이레사와 타세바가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생존율이 배 이상 향상된 것이다.
이레사와 타세바는 일명 1세대 EGFR 억제제다. 올해 초 이보다 더 강력하게 EGFR 유전자를 억누르는 2세대 EGFR 억제제인 ‘지오트립’이 등장했다.
이레사나 타세바를 장기간 투여하면 내성이 생겨 약효가 반감된다. 장기투약 시 EGFR 유전자에 T790M이라는 ‘악질’ 돌연변이 세포들이 많아져 효과가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제3세대 EGFR 억제제다. 이 역시 조만간 시판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ALK융합 변이에 의한 폐 선암을 표적으로 하는 1세대 항암제 ‘잴코리’에 이어 2세대 ALK억제제 ‘자이카디아’도 지난 4월 개발됐다. 이밖에 폐 편평상피암에 좋은 효과를 보이는 새 항암제도 곧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이들 표적치료제들은 대부분 국내 의료기관에서 임상시험연구 형식의 신약 치료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폐암 환자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폐암 환자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면 최신의 표적치료제들을 경제적 부담 없이 이용하며 죽음의 암세포와 싸울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다.
문용화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헬스 파일] 非소세포폐암 표적치료 어디까지 왔나
입력 2014-11-03 04:21 수정 2014-11-03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