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이완구·이해찬… ‘손봐야 할 지역구’ 거물 수두룩

입력 2014-10-31 04:54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 새정치민주연합 이해찬 전 대표, 박기춘 전 원내대표(왼쪽부터).

선거구 조정 대상에 오른 지역구를 둔 정치인에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이완구 원내대표 등 ‘실세’들이 상당수 포함돼 눈길을 끈다. 인지도가 높은 이들은 크게 걱정하지 않는 분위기지만 ‘대폭 조정’ 가능성이 높은 지역 의원들은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선거구를 다시 획정해야 하는 만큼 국회의원 선거제도 자체를 보완하자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3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시·도별 인구기준 불부합 선거구 현황’에 따르면 김 대표의 지역구인 부산 영도구 인구수는 13만3053명이어서 하한인구 미달 지역이다. 이곳은 일단 조정 대상에는 들어갔지만 김 대표 입장에선 신경 쓸 부분이 별로 없어 보인다. 5선인 데다 당 대표로서의 ‘인지도 프리미엄’까지 갖췄기 때문이다.

세월호 특별법 협상에서 손발을 맞춘 이 원내대표(충남 부여·청양)와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경북 군위·의성·청송)의 지역구는 하한선에서 각각 3만여명이 빠진다. 큰 폭의 조정이 불가피해 보이지만 이들 역시 선거구가 어떻게 조정되더라도 당선 가능성이 높다. 오히려 조정 폭과 유불리를 따지면서 다른 지역구의 소속 의원들을 걱정하는 모습이다.

7·30재보선을 통해 이변을 연출하며 돌아온 이정현 최고위원의 전남 순천·곡성은 인구수 30만8182명으로 상한인구 초과 선거구에 해당된다. 인천 서구·강화갑 이학재 의원과 인천 서구·강화을 안덕수 의원은 선거구 신설이 필요한 지역에 속한다.

새정치민주연합도 이해찬 전 대표를 비롯해 주요 상임위원장 및 다선 의원들이 선거구 조정 대상에 속한다. 그러나 안철수 전 대표와 문재인 의원 등 주요 대선주자와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 우윤근 원내대표 등 현 지도부의 지역구는 해당되지 않았다.

상한인구를 초과한 야당 의원 가운데는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구)과 국토교통위원장인 박기춘 의원(경기 남양주을)이 있다. 이들의 지역구 인구는 상한인구를 각각 4만9000여명, 5만5900여명 초과한 상태로 선거구 조정이 불가피해 보인다. 새정치연합 3선 의원 모임인 혁신모임을 이끌고 있는 최재성 의원(경기 남양주갑)과 안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맡았던 문병호 의원(인천 부평갑)의 지역구도 상한인구를 초과했다.

하한인구 미달 지역구에는 이해찬 전 대표의 지역구가 포함됐으나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상황이다. 지역구인 세종시의 인구가 13만8136명으로 하한인구 대비 불과 848명 부족하기 때문이다. 세종시가 인구성장이 이어지는 도시라는 점을 감안하면 선거구 조정 없이 20대 총선을 치를 가능성도 있다.

새정치연합 내 중도·온건파 모임에서 목소리를 내 온 박주선 의원(광주 동구)과 안희정 충남지사의 최측근인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 지역구는 하한인구 대비 2만∼3만명이나 부족한 곳이어서 조정 가능성이 크다.

김경택 최승욱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