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3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국회 차원의 지속 가능한 복지재원 논의를 위한 국민대타협위원회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서는 “지금 대한민국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국민통합”이라고 강조했다. 또 “20대 총선 전에 개헌을 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문 위원장은 “최노믹스는 완전히 실패했다” “(박 대통령의) 모든 약속은 허언이 됐다”고 비판하며 현 정부와 각을 세웠다.
문 위원장은 전날 박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예고한 대로 “제왕적 대통령중심제라는 헌 옷을 과감히 벗어내리고 분권적 대통령제라는 새로운 옷으로 갈아입을 때가 됐다”며 개헌론을 제기했다. ‘연내 국회 개헌특위 구성→내년 본격적 개헌 논의→2016년 총선 전 개헌’이라는 시간표도 제시했다.
문 위원장은 논어 안연편에 나오는 공자의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다우면 된다)에 빗대어 ‘청청여여야야(靑靑與與野野)론’을 역설했다. 그는 “국민은 (대선 당시) 반대했던 48.5%까지 껴안는 100% 청와대, 어머니 같은 대통령을 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언급하는 도중에는 감정에 북받쳐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문 위원장은 “박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약속한 ‘증세 없는 복지’는 지금 ‘복지 없는 증세’로 바뀌었다”며 서민증세에 앞서 부자감세 철회를 요구했다. 그는 “경제의 정상화를 위한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경제기조 대전환을 주장했다.
문 위원장은 복지재원 마련과 관련해 “재정 낭비부터 바로잡아야 한다”며 4대강 사업, 부실 자원외교, 방위사업 부실 비리 등을 통해 허비된 수십조원을 아낀다면 복지재원 확충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남북관계 등 외교 정책도 신랄하게 비판했다. 문 위원장은 “미·중 사이에서 좌표를 잃고 헤매는 동안 일본의 군사 대국화는 이미 현실이 됐다”며 “북핵은 그 어떤 국제적 논의조차 중단된 지 오래이니 도대체 어떤 외교를 위해 동분서주한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5·24조치 철회, 금강산 관광 재개, 내년 중 남북 정상회담 등을 주문했다.
‘카카오톡 사이버 사찰 논란’ 등에 대해서는 ‘민주주의의 후퇴’라고 우려했다. 문 위원장은 “공권력이 국민의 사생활을 검열하고 인권을 침해하는 일은 유신 때나 있었던 일”이라며 검·경 사정기관의 행태를 비판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
[복지재원 논의 위한 '대타협' 제안-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대표 “부자감세 철회를”
입력 2014-10-31 1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