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트라우마센터 건립이 무산될 위기를 맞고 있다.
광주시는 “2012년부터 운영에 들어간 광주트라우마센터가 문을 닫을 처지에 놓였다”고 30일 밝혔다. 국가 정신보건 시범사업으로 광주도시공사 건물 10층에 전문 인력과 시설을 갖추고 개소했지만 보건복지부가 국회에서 확보된 30억원의 예산집행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고문 등 국가폭력 피해자와 가족들의 치유를 위해 전국 최초로 설립된 트라우마센터는 2012년 10월 개소했다. 이후 의사 등 12명의 상근직원들이 5·18민주화운동 관련자 등을 상대로 개인·가족·집단 상담과 물리치료, 원예·미술·음악·사진 치유프로그램을 개설하는 등 치료·치유 활동을 벌여왔다.
하지만 보건복지부가 시범사업에 예산을 지원한 전례가 없다며 예산집행을 하지 않아 더 이상 센터 운영이 어렵게 됐다. 국가와 공권력으로부터 끔찍한 충격과 씻을 수 없는 마음의 상처를 받은 트라우마 수강생들은 당장 내년부터 오갈 데가 없게 됐다.
올해 안에 예산집행을 통한 센터건립이 이뤄지지 않으면 확보된 예산 30억원은 국고로 귀속된다.
센터 측은 “경찰관과 세월호 유족 등을 위한 트라우마센터가 전국 각지에 문을 열고 있는 마당에 국회가 이미 확정한 예산 집행을 정부가 거부하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트라우마센터 예산집행 안돼 무산 위기
입력 2014-10-31 02:59